정부, 15조 투입해 5년내 '딥테크 유니콘' 10곳 육성

과기정통부, 범부처 스케일업 R&D 투자전략 발표
2027년까지 스케일업 R&D 투자 연 3.5조원 확대
거점대학 중심으로 산·학·연 스케일업 밸리 조성



정부가 2027년까지 15조원을 투입해 첨단 과학 기술을 기반으로 한 ‘딥테크 유니콘’ 10곳을 육성하기로 했다. 또 이를 위해 기초·원천 분야에서 민간과 연구개발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1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 16차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범부처 스케일업 연구개발 투자전략’을 발표했다.


스케일업은 기술의 수준, 기업의 규모를 확대하는 과정으로 실험실 수준 기술을 고도화하는 ‘기술 스케일업’과 스타트업을 성장시키는 ‘기업 스케일업’을 포괄하고 있다.


정부는 스케일업을 위해 2조5200억원(2023년)을 투자하고 있지만 기술로 성장하는 초기 창업기업 지원이 미흡하고 부처 간 산발적 투자에 대한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또 출연금 위주 지원과 기업 혁신역량에 맞춘 성장단계별 지원체계 부족 등으로 실질적인 산·학·연 협력을 이끌어내기에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정부는 기술혁신을 통한 딥테크 유니콘 기업 창출을 위해 △민간 참여 확대 △범부처 협력 강화 △기업 지원방식 다각화 △생태계 중심 지원 등을 4대 기본방향으로 설정했다.


우선 민·관 역할분담을 바탕으로 마중물 효과를 촉진하기 위해 2027년까지 스케일업 R&D 투자를 연간 2조5000억원에서 연 3조5000억원으로 확대한다. 이는 전체 정부R&D의 10% 수준이다. 또 이를 바탕으로 딥테크 유니콘 10개 기업을 창출하기로 했다. 딥테크 유니콘은 첨단 과학과 공학에 기반을 둔 기술 기업 중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비상장 스타트업을 말한다.


또 민간 협업 중심의 투자를 강화하기 위해 주요산업별 민간 R&D 협의체를 통해 민간 수요에 기반한 스케일업 정부R&D 과제를 발굴한다. 여기에 연구개발과 연계한 정책 펀드를 활용해 창업 3년 이내의 초기 혁신기업에 자금을 집중 지원할 방침이다.


플랫폼 예산배분?조정체계 등 범부처 통합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 ‘국가기술전략센터’를 신설 하기로 했다. 전략센터는 연구개발 투자 현황을 분석하고 투자 전략을 강화하는 국가 차원의 씽크탱크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


관행적으로 계속하던 사업에 일몰제를 적용하거나 구조를 개편하는 등 투자 효율화도 추진한다. 특히 기업 스케일업을 위해 국가전략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딥테크 혁신기업 육성을 위한 스케일업 전용 R&D 신설 추진 또는 기존사업을 확대 한다.


각 부처가 가진 기술 관련 데이터베이스는 빅데이터·인공지능(AI)으로 분석해 핵심유망기술 풀(Pool)을 구축하고 민간과 공유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의 미래기술마당과 산업통상자원부의 국가기술은행, 중소벤처기업부의 테크브릿지 등이 분석 대상 데이터베이스에 해당한다.


연구개발 주도권을 민간에 확대할 목적으로 후불형·경쟁형·바우처형 연구개발 사업 도입과 기업 규모에 따라 연구개발비 부담 비율을 탄력적으로 적용해 기업의 비용 부담을 줄여주기로 했다.





또 캐나다 워털루 지역의 ‘퀀텀 밸리’ 처럼 지역 거점 대학을 중심으로 지역 연구소·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기업이 협력을 극대화하는 '산·학·연 스케일업 밸리'를 육성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