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 직원 평균 연봉이 모두 1억 원을 넘었으며 직원 상위 10% 평균 연봉은 2억 원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장기화로 어려운 상황에서 은행들이 예대금리차를 이용한 이자 장사로 성과급까지 인상하는 등 ‘자기 배 불리기’에만 몰두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이 15일 5대 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총급여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1년 5대 시중은행의 직원 평균 총급여(성과급 포함)가 처음으로 각 사 모두 1억 원을 넘어섰다. 국민은행이 1억 1074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신한 1억 529만 원 △하나 1억 525만 원 △우리 1억 171만 원 △농협 1억 162만 원 순이다. 평균 연봉뿐만 아니라 총급여의 중위값도 2021년 국민 1억 676만 원, 신한 1억 606만 원, 하나 1억 44만 원으로 3개 은행이 1억 원을 넘었다. 농협은행(9670만 원)과 우리은행(9636만 원)도 1억 원에 근접했다.
뿐만 아니라 2021년 직원 상위 10%의 평균 연봉은 2억 원에 가까웠다. 국민은행이 1억 9784만 원이었고 하나 1억 9553만 원, 신한 1억 9227만 원, 우리 1억 8527만 원, 농협 1억 7831만 원 등이다. 기본적인 임금 인상률 외에도 은행들이 성과급을 올리고 있는 만큼 2022년 평균 급여는 이보다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농협은행의 경우 기본급(통상임금) 대비 성과급 지급 비율을 2021년 350%에서 2022년 400%로 올리기로 했고 신한은행은 2021년 300%에서 2022년 361%(우리사주 61% 포함)로 올려 지급하기로 했다. 국민은행은 성과급 비율을 300%에서 280%로 내렸지만 특별격려금 340만 원을 지급하기로 해 실제 직원이 받는 금액은 더 늘었다.
이에 금융 당국은 은행권의 성과 보수 체계 개선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최근 임원 회의에서 “은행의 성과 보수 체계가 단기 성과에 너무 치우쳐 중장기적으로 내부 통제 및 리스크 관리 소홀, 금융 사고 발생 등의 문제점이 초래되지 않도록 은행권과 함께 성과 보수 체계에 대한 개선 노력을 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