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세 혜택 늘린다지만…"반쪽짜리 지원책" 지적도

업계 요구 기술 절반 빠져


우리 디스플레이 산업을 바라보는 정부의 시선이 불과 반 년 만에 확 달라졌다. 지난해 6월 ‘새 정부 경제정책방향’을 내놓을 때만 하더라도 정부는 “디스플레이를 반도체와 같은 국가전략기술 반열에 올리기는 이르다”고 했다. 줄곧 시장 점유율 1위를 지켜온 우리 기업이 2021년 중국에 왕좌를 넘겨준 직후라 세 혜택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컸지만 정부 입장은 달라지지 않았다.


정부가 18일 기존 입장을 뒤집고 세 지원을 확대하기로 한 것은 최근 들어 디스플레이 산업의 입지가 예상보다 더 크게 흔들리는 점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디스플레이 수출 추이를 보면 지난해 9월 전년 대비 20%에 가까운 감소율을 보이더니 12월 들어선 35.9%로 낙폭이 더 커졌다. 반도체를 포함해 정부가 주력 상품으로 분류한 15개 수출 품목 중 감소율이 가장 크다. 극심한 디스플레이 수출 부진 원인을 세계 경기 둔화 탓으로만 돌리기 어렵다는 얘기다.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이날 디스플레이 업계를 만난 자리에서 “디스플레이 분야는 최근 들어 경쟁국의 추격이 가장 심해지고 있는 분야”라면서 “국내외 여건이 기업 역량만으로는 생존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정부는 이에 차세대 제품을 중심으로 세제 지원을 강화해 반등의 발판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날 국가전략기술 지원 대상에 오른 품목은 △퀀텀닷(Q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능동형 유기발광 다이오드(AMOLED) 등으로 OLED 내에서도 첨단 제품으로 분류되는 것들이다. 디스플레이 패널 코팅 소재와 박막트랜지스터(TFT) 제조 장비도 세 혜택 대상에 올려 밸류체인 전반을 강화하기로 했다.


다만 이번 개편안이 기대에 못 미친다는 평가도 있다. 정부 심의 과정에서 업계 수요를 감안해 총 10개 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적잖았지만 세수 감소 우려 등에 밀려 결국 5개만 신규 지정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업계 입장에서 보면 반쪽짜리 지원인 셈이다. 특히 QD 디스플레이, AMOLED와 함께 ‘3대 핵심 기술’로 꼽히는 봉지장비 제조 기술이 배제된 점도 아쉬운 대목이다. 봉지장비는 OLED에서 빛을 내는 유기물질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 외부 물질을 차단하는 공정에 쓰이는 설비다.


불황으로 실적이 전만 못한 반도체 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추가 세 혜택도 이날 함께 발표됐다. 정부는 국가전략기술 항목에 △파운드리향 IP 설계 검증 △시스템반도체 테스트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PIM) △전력반도체 등 시스템 반도체 부문 기술을 추가하기로 했다.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소형모듈원자로(SMR)은 신성장 원천기술로 지정됐다. 액화수소 운반 선박에 필요한 액화수소 저장기술과 해저케이블 시스템 기술 등도 목록에 새로 올랐다. 신성장 원천기술로 분류되면 연구개발 시 대기업은 투자비용의 최대 30%를, 중소기업은 최대 40%의 세액공제 받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