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선행지수 12년래 최대폭 뚝…"올 상저하저 가능성" 비관론도

[12월 산업활동 동향-최악 경기 한파]
난방비 등 고물가·고금리 덮친데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약세' 우려
1월 반도체 수출은 34% 이상 감소
기업 자금조달비용도 갈수록 부담
"자칫 하반기까지 침체" 경고도 나와









한국 경제에 빨간불이 켜졌다. 전산업생산이 32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고 설비투자·건설기성도 급감했다.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5포인트 떨어져 12년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수출이 부진하고 반도체 등 주력 업종에 찬바람이 부는 데다 난방비 급등 등 고물가가 이어지며 생산·소비·투자 모두 줄어드는 트리플 하락 가능성이 커졌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경기 침체 양상이 뚜렷하다. 지난해 연간으로는 생산·소비·투자가 일제히 느는 ‘트리플 호황’을 기록했다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지표가 악화됐다.


특히 지난해 12월 반도체 생산은 1년 전과 비교해 15.8% 줄었고 정보통신기술(ICT) 분야는 21.7% 급감했다. 반도체 장비 등 기계류의 투자가 한 달 전보다 7.8%, 자동차 등 운송장비 투자가 4.8% 각각 감소하며 설비투자는 7.1% 떨어졌다.


문제는 앞으로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지난해 12월 전월 대비 0.5포인트 떨어진 98.5를 기록했다. 지난해 7월 이후 6개월 연속 하락인 데다 2010년 10월(0.5포인트 하락) 이후 12년 2개월 만에 가장 크게 떨어졌다. 현재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역시 지난해 12월 0.9포인트 내려 두 달 연속 줄었다. 통상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2개 분기 연속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면 경기 전환 신호로 판단한다.


당장 2월부터 생산·소비·투자가 다 함께 주는 트리플 약세에 빠질 가능성마저 거론된다. 생산 측면에서는 반도체 경기 하강이 이어지는 데다 누적된 재고도 많다. 수출도 문제다. 이달 20일까지 수출액이 1년 전보다 2.7% 감소했다. 일평균 수출액은 8.8% 줄었다. 반도체 수출은 34.1%나 떨어져 이달까지 6개월 연속 감소하는 것이 확실시된다. 기업 입장에서는 고금리에 설비 투자를 위한 비용 조달도 여의치 않다.


그나마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소비도 고물가에 불안하다. 당장 이달 난방비 급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상황에서 2월부터는 택시비가 오르고 2분기부터는 억눌렀던 전기·난방요금이 또다시 인상된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우리나라의 인플레이션은 수요 대신 수입 물가에 연동된 경향이 큰 만큼 금리 인상이 경기 침체, 소비·투자 감소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며 “보유한 현금이 많은 삼성마저 선뜻 신규 투자에 나서기 쉽지 않은 상황인데 현금이 부족한 다른 기업들은 고금리로 현금 조달 비용이 높아진 만큼 투자를 줄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올해 한국 경제가 상반기에 부진하고 하반기에 반등하는 상저하고(上低下高) 흐름을 보일 것이라는 게 지배적인 관측이지만 자칫 하반기까지 침체가 이어지는 상저하저(上低下低)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허진욱 인천대 교수는 “반도체 산업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둔화돼 왔는데 우리 경제가 반도체 영향이 크고 연관된 산업도 많은 만큼 올해 내내 부정적인 영향이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이어 “투자 역시 바닥을 지났다는 느낌은 있지만 생산이 어려운 만큼 좋아지기보다는 소강 상태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 역시 글로벌 경기 둔화, 금리 상승 등으로 수출·제조업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내수 회복 흐름마저 악화하며 향후 경기 흐름의 불확실성이 확대했다고 진단했다. 생산 측면에서는 누적 재고, 반도체 경기 하강이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며 부동산 경기 하강, 높은 물가, 주요국 통화정책 관련 불확실성을 소비·투자의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이에 기재부는 상반기 경기 어려움을 극복하고 하반기 반등 기회를 최대한 살려 나가도록 범부처 정책 역량을 총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상반기 경기 보완을 위해 340조 원 규모의 재정·공공투자·민자사업 조기 집행을 조기 추진한다. 아울러 취약 계층 난방비 경감, 지방 공공요금 안정 등 민생·물가 안정에 총력을 다하는 동시에 UAE 순방 성과 후속 조치, 반도체 등 세제 지원 확대 방안의 조속한 입법 등 전방위적인 수출·투자 활성화에 나선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