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005930)가 메모리반도체 불황 속에서도 ‘인위적 감산은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지난해 4분기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이 2700억원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97% 급감했지만 시장 지배력을 높이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31일 김재준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 부사장은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 이후 열린 콘퍼런스콜에서 ‘메모리 시황 악화에 대응하기 위해 설비투자 축소 또는 지연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설비투자(CAPEX)는 전년도와 유사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장기 수요 대응을 위한 인프라 투자를 지속해 필수 클린룸을 확보하고자 한다”며 “최근 반도체 시황 약세가 당장의 실적에 우호적이지는 않지만 미래를 철저히 준비할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최근 관심사로 떠오른 감산 이슈와 관련해 명확하게 ‘감산은 없다’고 밝히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기존의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SK하이닉스(000660)·마이크론테크놀로지 등 메모리반도체 경쟁사들이 감산·투자 감축을 선언한 상황에서 양적 우위를 유지해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행보로 보인다. 올해에도 메모리 수요 위축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업계 1위인 삼성전자가 시장 지배력을 높이는 전략을 유지하겠다는 기조를 거듭 강조한 것이다.
물론 설비 재배치 등을 통한 ‘자연적 감산’ 가능성에 대해서는 부인하지 않았다. 반도체 사업이 적자 위기에 놓인 상황에서 고강도 출혈 경쟁을 이어가기에는 부담스러운 만큼 차기 공정 전환을 감안해 자연스러운 감산으로 흐름을 가져가겠다는 구상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최고의 품질과 라인 운영 최적화를 위해 생산 라인 유지 보수 강화와 설비 재배치 등을 진행하고 미래 선단 노드로의 전환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설비투자 내 연구개발(R&D) 항목 비중도 이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날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으로 27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반도체 부문의 실적 부진은 어느 정도 예상됐지만 업계 예상치였던 1조원대를 크게 밑돈 수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8조8400억원)보다 96.94%나 감소한 것이다.
이는 주력인 메모리 반도체 사업이 극악한 경영 환경을 맞이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글로벌 정보기술(IT) 시장은 물가·금리가 동시에 상승하면서 유례없는 수요 부진 현상을 겪고 있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지난 1월 올해 PC용 DDR4 D램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1.81달러로 전년 동기 제품 값(3.41달러)에서 반토막이 났다.
삼성전자 측은 하반기 수요 부진 현상이 올해 1분기에도 지속돼 반도체 사업 환경이 녹록치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재준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부사장은 올해 1분기 메모리 사업 전망에 대해 “서버용 D램의 경우 경기 불확실성이 지속되며 고객사 재고 조정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며 “모바일·PC용 메모리의 분야에서도 소비 심리 약세로 수요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반도체 사업의 또다른 중요한 축인 파운드리 사업은 지난 4분기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다만 같은 기간 대만 TSMC의 영업이익이 삼성전자 반도체 영업이익의 50배 수준인 13조원을 기록한 것에 비하면 존재감이 미미하다는 평가다.
문제는 한국 반도체 사업 업황이 고꾸라지는 상황에서도 국회는 여전히 미온적인 상황이라는 점이다. 개별 기업이 혼자서 반도체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임에도 국회는 정쟁과 ‘재벌 특혜 논리’로 반도체 지원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
올해 초 정부에서는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8%에서 15%, 중소기업은 16%에서 25%로 세액공제율을 높이는 내용을 담은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발표했다. 해당 개정안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사법 절차가 선행돼야 하지만 여당의 당 대표 선거와 야당의 입장 차로 2월 개정안 통과 목표 달성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야당은 반도체 지원 방안이 삼성, SK 등 반도체 대기업에 특혜가 돌아갈 것이라며 세제 범위 조정을 원하고 있다.
국내 정부의 시큰둥한 분위기와는 달리 미국, 일본, 대만 등 세계 반도체 주요국은 반도체 지원 방안과 보조금 마련에 상당히 적극적으로 나서며 반도체 패권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일본은 소니 등 자국 대기업 8개가 힘을 뭉쳐 만든 반도체 회사 ‘라피더스’에 700억엔(약 6600억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했고 앞으로도 추가 자금을 대기로 했다. 미국은 자국에 반도체 공장을 지으면 기업 규모와 상관없이 25% 세액공제를 해준다. 반도체 시설 투자와 연구개발(R&D) 등에 520억달러(약 73조원)를 지원한다. 막대한 지원에 삼성전자부터 TSMC, 마이크론 등이 미국에 수백억달러를 투자해 반도체 공장을 짓기로 했다.
대만 역시 지난 1월 연구개발(R&D) 투자에 최대 25%의 세액공제를 해주는 반도체 산업 지원책을 통과시켰다. TSMC는 정부의 정책 발표 이후 곧바로 R&D 비용을 늘리며 화답했다. TSMC 측은 최근 열린 실적 발표회에서 기술 개발에 집중하기 위해 올해 R&D 투자를 지난해보다 20% 늘릴 것”이라며 “정부의 세금 인센티브가 원래대로 종료됐다면 세율이 18~19% 수준이었을 텐데 정부 수정안으로 세율이 15% 수준으로 떨어지게 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