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분양 1.2만가구 그칠 것"…악성미분양에 공급도 반토막

당초 예상치 2.5만 가구서 급감

2022년 12월 서울 남산에서 촬영한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경기도 안양의 ‘평촌 센텀퍼스트’가 서울 접근성이 좋고 유명 학원가와 가까운 입지에도 흥행에 실패한 근본적 이유는 얼어붙은 분양 시장에 있다.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세 탓에 분양 주택에 대한 관심이 사그라들면서 주택 공급자들은 사업을 취소하거나 분양 시기 조절에 들어갔다.


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월 전국 분양 예정 물량은 1만 2881가구(임대 포함)로 지난해 말 조사 당시의 예상치 2만 5620가구와 비교해 절반 수준까지 줄어들었다. 1월은 지난해 조사에서 전국에서 2만 1989가구의 분양 물량이 나올 것으로 예상됐지만 실제 시장에 나온 물량은 1만 5가구에 그쳤다.


분양 물량이 줄어든 것은 전국적으로 쌓이고 있는 미분양의 영향이 크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 물량은 6만 8107가구다. 2012년(7만 4835가구) 이후 9년 만에 가장 많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전국을 강타했던 2008년(16만 5599가구)에 비해서는 적지만 지난해 10월부터 두 달 연속 1만 가구씩 증가하는 등 증가 속도가 빠른 편이다.


정부는 지난달 △전매 제한 완화 △실거주 의무 폐지 △중도금 대출 확대 등 분양 시장에 초점을 맞춘 규제 완화책을 내놨지만 시장 분위기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직방 빅데이터랩에 따르면 올해 1월 전국 1순위 청약 평균 경쟁률은 0.3 대 1로 지난해 12월(3.8 대 1)과 비교해 오히려 떨어졌다. 1순위 청약 미달률은 54.7%에서 73.8%로 높아졌다.


분양 시장 한파가 이어지면서 정부가 추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비교하면 지금의 미분양 물량이 많은 수준은 아니나 문제는 속도”라며 “미분양 물량이 10만 가구를 넘어선다면 분양권을 대상으로 양도소득세를 감면해주는 등 특단의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