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의 영향으로 지하철 이용이 늘면서 지난해 접수된 유실물이 전년 대비 25% 이상 증가했다고 10일 밝혔다.
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공사가 접수한 유실물은 총 12만 7387건으로 2021년 10만 1618건보다 25.4% 늘었다.
방역 수칙이 완화됨에 따라 지하철 이용 승객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유실물도 늘어난 것으로 공사는 분석했다. 지난해 1∼8호선 수송 인원은 약 21억 5000만 명으로 전년 19억 5000만 명보다 10.4% 증가했다.
지난해 지하철에서 가장 많이 잃어버린 물건은 지갑으로 전체 유실물의 24.5%(3만 1228건)를 차지했다. 휴대전화 16.5%, 의류 14.4%, 가방 14.2% 등이 뒤를 이었다.
지하철 유실물 품목의 변화를 보면 2006년에는 가방이 전체 유실물의 31.6%에 달하며 가장 많았지만, 점차 밀려 지난해에는 4위를 기록했다. 2014∼2017년에는 휴대전화가 유실물 품목 1위를 차지했다.
2018년 이후부터는 지갑 분실이 가장 많아졌다. 대부분 얇은 카드 지갑인 점을 고려하면 교통카드를 넣은 카드 지갑을 개찰구에서 찍은 후 놓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공사는 추정했다.
지난해 접수한 유실물 중 63.0%는 물건을 잃어버린 본인에게 직접 인계됐다. 23.3%는 경찰에 이관됐고 13.8%는 보관된 채로 주인을 기다리고 있다.
본인 인계율이 가장 높은 품목은 휴대전화로 94.1%에 달했다. 가방(78.9%)과 지갑(78.2%)도 본인이 찾아가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에 의류는 1만 8333건 중 10.0%인 1833건만 본인에게 인계됐다.
공사는 지하철에서 물건을 두고 온 것을 인지했다면 잃어버린 장소와 시간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고객안전실에 유실물을 신고하기 전에 열차 하차 시각과 방향, 승·하차 위치를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유실물을 찾는 데 도움이 된다.
열차와 승강장 사이 선로로 떨어뜨린 물건은 안전상의 이유로 열차 운행 시간에는 회수하기 어렵다. 물건의 종류와 승강장 위치를 고객안전실에 신고하면 영업 종료 후 수거해 다음 날부터 인계 받을 수 있다.
공사는 각 역에서 유실물이 들어오면 우선 경찰청 유실물 포털 사이트에 등록하고 이후 호선별로 운영 중인 유실물센터로 보낸다. 승객이 바로 찾아가지 않을 경우 1주일간 보관 후 경찰서로 이관한다.
유실물센터는 지하철 내 물품 보관함에 유실물을 맡기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야근 등으로 영업시간에 센터를 찾기 어려운 이용객을 위해 유실물센터가 있는 역의 물품 보관함에 유실물을 보관하고, 물건 주인에게 물품 보관함 번호와 비밀번호를 전송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