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93% "경기 악화돼도 ESG 사업 안 줄인다"

■전경련, 매출 500대 기업 조사
기후위기 공감대 확산, ESG 경영 정착 효과
"규제 다변화, 전문인력 부족은 문제"

서울 여의도 전경련 회관. 서울경제DB


올해 글로벌 경기 환경이 악화하는 가운데서도 대다수 대기업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규모를 지난해와 같은 수준으로 유지하거나 더 늘리겠다는 입장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 실무자를 대상(100개사 응답)으로 ‘2023 ESG 트렌드’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93.0%는 올해 ESG 경영 규모를 지난해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겠다고 응답했다. 지난해와 유사하게 운용하겠다는 응답은 57.0%, 지난해보다 더 늘리겠다는 응답은 36.0%였다. 지난해보다 줄이겠다고 답변한 기업은 7.0%에 불과했다.


전경련은 올해 기업들이 ESG 사업 규모를 확장하려는 이유를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글로벌 공감대 확산에서 찾았다. 또 사업구조 전환을 통한 ESG 경영 환경의 정착도 원인으로 분석했다.


기업들의 82.0%는 ESG 가운데 가장 중요한 이슈로 환경(E)을 가장 많이 꼽았다. 사회(S)와 지배구조(G)는 각각 9%였다. 올해 환경 분야 이슈로는 ‘탄소배출량 감축(47.0%)’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그 뒤를 ‘신재생 에너지 전환(17.1%)’ ‘친환경 기술개발(17.1%)’ ‘대기·수질 오염관리(9.7%)’ ‘순환경제 활성화(9.1%)’ 등이 이었다. 또 응답 기업의 48.0%는 기후변화 대응전략을 수립했고 58.0%는 구체적인 탄소감축 목표를 설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분야 주요 이슈로는 산업재해(안전·보건 관리)를 31.1%로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는 ‘노사관계(15.3%)’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14.4%)’ ‘인권경영(12.0%)’ ‘인적자원관리(9.1%)’ ‘제품·서비스 품질관리(6.7%)’ ‘다양성·포용성(4.8%)’ ‘지역사회관계(4.3%)’ 등이 있었다. 지배구조 주요 이슈는 ‘준법·윤리경영 시스템 강화(38.5%)’ ‘ESG 정보공시·평가 대응(28.0%)’ ‘ESG위원회 운영 실효성 확보(16.8%)’ ‘이사회 전문성·다양성 확보(16.1%)’ ‘기타(0.6%)’ 순으로 많이 선택했다.


기업 27%는 협력사와 공급망 ESG 관리를 시행하고 있다고 답했고 29.0%는 시행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공급망 ESG 관리 내용에 대해서는 ‘공급망 ESG 전반에 대한 관리(50.0%)’ ‘탄소배출량 관리 등 환경 실사(27.6%)’ ‘강제노동 금지 등 인권 실사(9.2%)’ 등을 꼽았다.


기업 ESG 경영 수행에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ESG 관련 규제의 다변화·고도화(35.4%)’가 많이 지목됐다. 그 뒤를 ‘전문인력 등 ESG 관련 전문성 부족(21.7%)’ ‘ESG 평가 부담 심화(16.8%)’ ‘과도한 비용 소모(15.5%)’ ‘낮은 사업 관련성(9.9%)’ 순으로 이었다. 정부·국회 등에서 추진해야 할 ESG 지원 정책으로는 ‘글로벌 ESG 규제 대응 역량 강화(30.3%)’ ‘ESG 전문인력 육성(27.0%)’ ‘감세·공제 등 세제지원 확대(24.3%)’ ‘자금조달 등 금융지원 확대(17.8%)’ 등이 있었다.


기업들은 ESG 평가 대응을 두고는 ‘평가업체마다 다른 결과로 인한 예측가능성 저하(56.0%)’ ‘평가요소 비공개로 인한 평가 대비 어려움(21.0%)’ ‘ESG 컨설팅 비용 부담(17.0%)’ 등에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ESG 정보공시 활성화를 위한 지원사항으로는 ‘국내 공시제도 간소화·단일화(38.0%)’ ‘공시 전문인력 육성 지원(32.0%)’ ‘공시 대비 유예기간 부여(20.0%)’ 등을 꼽았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