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가스료 속도조절에…뒤엉킨 '공기업 정상화'

◆공기업 개혁 로드맵 타격
尹 에너지 요금인상 최소화 언급에
"2분기 인상 사실상 물 건너갔다"
한전 올 10조 적자·가스公 미수금 12조
과도한 채권발행 나서야 할 수도
에너지 다소비 구조 개혁도 난관

윤석열 대통령이 전기·가스 등 에너지요금의 인상 폭과 속도를 조절하겠다고 밝히면서 공기업 정상화 로드맵이 뒤엉키고 있다. 요금의 단계적 정상화가 쉽지 않아진 데다 내년 총선과 맞물려 올 하반기부터 선거 정국이 본격화될 경우 공기업 재무 개선 작업은 또 뒷전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장 일각에서는 한국전력의 지난해 적자가 30조 원을 넘길 것이 확실시되고 유럽 전쟁도 진정될 기미가 없는 가운데 한전채 사태가 재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가격 현실화를 통해 에너지 다소비 구조를 바꾸려는 시도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16일 전력 업계에 따르면 한전은 다음 주 지난해 실적을 발표한다. 적자 규모는 30조 8900억 원 수준이 예상된다. 1년 전의 5배가 넘는 적자를 내게 된 셈이다. 한전뿐만이 아니다. 한국가스공사의 누적 미수금 역시 2021년 1조 7700억 원에서 1년 만에 9조 원으로 급증한 데 이어 올해 1분기에는 12조 원으로 불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전기요금을 ㎾h당 13원 10전 올리고 가스요금을 1분기 동결하면서 2분기 이후 인상 요인을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2분기 전기·가스요금의 대폭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해 국회에 제출한 한전·가스공사 경영 정상화 방안에 따르면 올해 전기요금 인상 적정액은 ㎾h당 51원 60전, 가스요금은 MJ(메가줄)당 39원이었다. 이조차도 2026년까지 한전의 누적 적자와 가스공사의 미수금을 해소하는 ‘속도 조절’을 가정한 수치였다.


하지만 윤 대통령이 전날 비상경제회의에서 공공요금 인상은 하반기로 미루고 에너지의 경우 인상 폭과 속도를 조절하겠다고 언급하면서 모든 게 달라졌다. 에너지요금 결정의 키를 쥔 기획재정부와 산업부는 “한전과 가스공사의 실적을 고려할 때 동결은 쉽지 않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지만 ‘제한적 인상’이 유력하다. 내부적으로는 선거 일정 등을 감안하면 올 2분기가 대폭 인상의 적기였는데 사실상 물 건너갔다는 말까지 나온다.


산업부가 내놓은 적정 인상액이 지난해 인상액보다 훨씬 크다는 점도 고민이다. 지난해 전기요금은 ㎾h당 19원 30전, 가스요금은 MJ당 5원 47전 올랐다. 국민의힘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에너지요금 인상만으로도 민심이 들끓고 있는데 산업부가 제시한 요금 인상 적정액은 전기요금의 경우 지난해 인상액보다 2.5배, 가스요금은 7배 이상 많다”며 “이를 다 수용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워 보인다”고 밝혔다.


문제는 에너지요금의 찔끔 인상이 결국 또 다른 폭탄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점이다. 공기업의 채권 발행 물량이 많아져 자본시장을 교란할 여지를 배제할 수 없고 잠시 틀어막은 물가 인상이 뒤늦게 이뤄지는 폐단으로 나타날 수 있다. 국회에서 한전채 발행 한도를 증액하는 한전법 개정안이 지난해 말 가까스로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채권 발행으로 수십조 원의 적자를 메우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공들였던 ‘에너지 효율화’ 움직임도 무산될 수 있다. 산업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난방비 폭탄’ 프레임이 정부에 부담이 되기는 했지만 난방비를 절약하는 법이 잇따라 보도되는 등 수요 감축을 유인한 측면도 있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한국전력·한국수력원자력·남동발전 등 7개 전력 공기업은 지난해 사업 조정, 비(非)핵심 자산 매각 등을 통해 총 5조 3000억 원 규모의 재정 건전화를 달성했다. 이들 전력 공기업은 올해도 3조 2000억 원 이상의 재정 건전화를 이룬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핵심인 에너지가격 정상화 없이는 이 같은 계획 달성은 요원하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요금 현실화를 추진하되 취약 계층에 대한 지원을 두텁게 하고 국민들에게 위기 상황인 만큼 인상이 불가피하며 절약을 생활화해야 한다고 설득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