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L의 묘수…美서 독주하던 韓 배터리 발칵[윤홍우의 워싱턴 24시]


인플레이션 감축법으로 이미 미국 정부한테 뒤통수를 맞았는데 이번에는 미국 완성차 파트너한테 뒤통수를 한번 또 세게 얻어 맞은 느낌입니다.


미국을 대표하는 자동차 회사 포드와 중국 최대 배터리 업체 CATL이 손을 잡았습니다. 포드의 주력 배터리 협력사는 바로 SK온입니다.


조 바이든 행정부의 ‘중국 공급망 탈피’ 기조와 맞물려 한국 배터리 업체들의 독무대가 될 것으로 여겨졌던 미국 전기차 시장에 예상 밖의 ‘대어’가 뛰어든 셈입니다.


더구나 정찰 풍선 사건, 러시아 지원 등의 문제로 미국과 중국의 외교 수장이 날마다 얼굴을 붉히고 있는데 미국 내에서 버젓이 벌어진 일입니다. 말 그래도 말이 되나 싶은데 속 사정을 한번 들여다보겠습니다.






“트로이의 목마가 될 것이다”


미국 버지니아주의 글렌 영킨 주지사가 포드와 CATL의 합작 공장을 두고 이렇게 얘기를 했습니다. 버지니아주는 원래 이 합작 공장의 유력한 후보지 였습니다. 그런데 공화당 출신 영킨 주지사가 중국 기업과의 이런 합작은 결국 독이 될 것이라면서 스스로 공장 유치를 포기를 했습니다. 미국 내에서도 포드와 CATL의 합작이 정치적으로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하나의 단면입니다.




글렌 영킨 버지니아주 주지사/연합뉴스

포드와 CATL의 합작 공장을 간단히 요약하면 총 35억 달러를 들여서 미시간주에 배터리 공장을 짓습니다. 2026년에 공장이 가동되면 연간 40만대의 전기차에 공급될 배터리가 생산될 예정입니다. 그런데 합작 방식이 특이합니다. 포드가 공장을 완전히 소유하고 운영하며 CATL은 지분을 ‘1%’ 도 가져가지 않습니다. 다만 CATL은 기술을 제공해서 일종을 로열티를 챙깁니다. 기술진과 생산 장비 등도 공급할 예정입니다. 결국 알맹이는 중국 회사인데 껍데기는 완벽한 미국 회사를 차리는 것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합작을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앞으로 미국 정부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을 통해 중국 등 우려 국가 기업에서 생산된 부품을 전기차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할 예정입니다. 이를 우회할 방법을 찾은 겁니다. 또 미국으로 해외 자본이 진출할 때마다 받아야 하는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의 심의도 피해갈 수 있습니다. 배터리가 절실한 포드와 미국 현지 시장 확장을 원했던 CATL이 묘수를 짜낸 셈입니다.



그렇다고 해도 이런 합작이 성사되기에 결코 우호적 환경은 아닌데요. 포드가 그럼에도 CATL을 선택한 이유, 거기에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라는 아주 중요한 요소가 있습니다. LFP 배터리를 짧게 요약하면 주행거리는 우리 업체들의 주력인 삼원계 배터리보다 짧습니다. 그런데 수명이 길고, 발화점이 높아 폭발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결정적으로 저렴합니다.






원래 LFP 배터리라고 해서 무조건 저렴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배터리의 성분을 절묘하게 조합해서 저렴하게 만드는 기술을 CATL이 갖고 있습니다. 보통 한국 업체들 배터리보다 성능은 10~20% 떨어지지만 가격 역시 10~20% 저렴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금 전 세계 도로에 있는 전기차의 3분의 1에 CATL의 배터리가 들어있을 정도로 CATL의 거대한 배터리 기업입니다. 미국 테슬라도 상하이 공장에서 CATL 배터리를 공급 받아 전기차를 만듭니다. 그만큼 기술력이 보장된 기업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왜 포드는 주행거리가 짧고 저렴한 배터리를 원했을 까요. 선 뜻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미국 땅이 얼마나 넓은데 한번 충전하면 조금이라도 더 달리는 전기차를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요. 하지만 미국 전기차 시장을 뜯어보면 또 하나의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 워싱턴 24시에서는 한국 기업들을 발칵 뒤집어 놓은 포드와 CATL의 합작, 미국 전기차 시장의 분위기, 그리고 바이든 정부의 아리송한 태도를 짚어 보겠습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