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만에 공무원 시험에 합격한 신입이 6개월 만에 사표를 내고 싶다는 심정을 드러낸 글이 화제다. 공무원은 안정적이고 졍년이 보장돼 최고의 직장으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과도한 업무량과 박봉으로 인해 어렵게 시험을 통과헀음에도 자발적 퇴사를 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6일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주로 가입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혹시 의원면직 해보신 분 있으신가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작성자는 "열심히 공부하시는 수험생들이 많은 카페에 이런 글을 올려 죄송하다"면서도 "의원면직하고 싶은데, 주변에 물어볼 곳이 없어서 도움 요청한다"고 적었다. '의원면직'은 공무원이 자신의 사의를 표시하는 것. 사기업의 퇴사와 동의어로 사용된다.
특히 글의 작성자는 지난해 9월 '4년 차 공시생의 지방직 일반행정 합격 수기'를 올렸던 것으로 알려져 젊은 공무원들의 고민을 보여준다는 평가다. 실제로 지난해 10월 서울시 통계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의원면직'을 신청한 20~30대 공무원은 866명이었다. 2017년에는 131명이었는데, 2021년에 211명으로 숫자가 늘어난 것이다. 특히 자발적 퇴직 공무원 규모가 2017년에 비해 2021년이 61%나 증가했다.
기본소득당 용혜인 국회의원이 지난 2010년부터 올해까지 9급 1급 국가공무원 1호봉 임금을 취합한 결과 지난 2019년부터 9급의 봉급 인상률은 1급보다 항상 높았지만 지난 2019년부터 최근까지는 둘 다 5.9%로 동일했다.
지난 2016년까지만 해도 국가공무원 일반직 9급 1호봉 월 급여는 134만6400원으로 당시 최저임금 월 126만270원보다 높았다. 하지만 2019년 9급 1호봉이 159만2400원으로 최저임금 174만5150원에 역전됐다.
보수 인상률도 3년째 1%대 이하를 기록 중이다. 2021년에는 0.9% 상승했고, 2022년에 1.4% 인상됐다.
정신과를 찾는 공무원들도 늘어났다.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실이 지난해 10월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신질환으로 국내 병원을 방문한 환자 수는 코로나19 국내 발생 이전인 2019년 362만7천452명이었던 것이 발생 2년 차인 2021년 405만8천855명으로 11.9% 증가했다.
특히 공무원 중 다빈도 정신질환 진료를 받은 사람의 비중이 높았다. 작년 전체 공무원 가입자 119만7584명 중 4.30%인 5만1513명이 다빈도 정신질환 진료를 받았는데, 이는 2019년 3.45%보다 0.85% 포인트 높아진 수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