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차이코퍼레이션, 결국 핵심사업 '차이페이' 접는다

하반기 중 일반고객 대상 사업 철수
테라·루나 사태 여파로 신뢰 하락
'자본잠식' 재무상태 악화
B2B 전자결제 사업 위주로 재편


차이코퍼레이션이 결국 핵심 사업이었던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간편결제 서비스 '차이(이하 차이페이)'를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테라·루나 사태 이후 창업자인 신현성 차이페이홀딩스 대표가 사기 등의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어 서비스 신뢰도에 문제가 생긴 것이 원인으로 파악된다. 또 매년 수백억 원의 적자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비용 감축 필요도 컸던 것으로 보인다.


1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최근 차이코퍼레이션 측은 주요 투자자들에 올해 하반기까지 '차이페이' 서비스를 종료하기로 했다고 전달했다. 아직 가입자가 남아있는 만큼 당장 서비스 종료가 어려운 탓에 순차적으로 종료 수순을 밟을 계획이다.


2018년 9월 설립된 차이코퍼레이션은 이듬해인 2019년 6월 회사의 대표 서비스로 차이페이를 선보였다. 차이페이는 앱 간편결제와 하나카드, BC카드와 연계한 '차이 신용카드', '차이 체크카드' 등의 서비스로 구성돼 있었다. 차이페이는 이용자들이 앱을 통해 각종 쇼핑몰에서 간편결제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과 유사하다.


차이코퍼레이션은 차이페이에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돼 있는 것을 다른 결제서비스와 다른 차별점으로 내세웠다. 이를 활용해 결제 후 복잡한 정산 과정을 간소화하고, 이 과정에서 2~3%에 달하는 결제 수수료를 낮출 수 있다고 주장했다. 각종 할인 혜택 등의 영향으로 한때 차이페이 가입자 수는 100만 명을 훌쩍 넘는 수준으로 성장하기도 했지만, 최근 들어서는 가입자가 감소하는 추세인 것으로 알려졌다.


차이코퍼레이션인 차이페이 서비스를 종료할 수밖에 없는 이유로는 창업자인 신현성 대표의 법적 리스크가 가장 큰 요인으로 파악된다. 지난해 하반기 신 대표가 테라·루나 사태 이후 이와 관련해 사기적 부정거래, 전자금융거래법위반 등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게 되면서 차이페이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가 급격히 떨어진 것이 사실이다. 또 현재 검찰에서는 차이페이의 블록체인 기술 적용 자체가 허위였고, 이를 바탕으로 VC들을 기망해 차이페이홀딩스(차이코퍼레이션 지주사)가 1400억 원의 투자를 받았다고 보고 수사하고 있다.


B2C 서비스의 특성상 적극적인 마케팅이 필수적이지만, 현재 차이코퍼레이션의 자금 사정상 차이페이에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기는 어려운 상황인 것도 서비스 종료 배경으로 꼽힌다. 2022년 말 차이코퍼레이션 재무제표에 따르면 현재 자본금이 222억 원인데, 자본총계가 2억 7000만 원 수준에 불과한 자본잠식 상태다. 올해 신규 투자 유치나 획기적인 매출 확대가 없다면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앞으로 차이코퍼레이션은 국내에서 개인들을 대상으로 한 B2C 서비스는 모두 종료하고 자회사인 '코리아포트원'을 바탕으로 한 전자결제 관련 B2B(기업간 거래) 사업에 전념할 계획이다. 코리아포트원(옛 아임포트)은 2020년 차이코퍼레이션이 136억 원을 들여 차이페이 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수한 전자지급결제대행(PG)사다. 차이페이홀딩스는 해당 B2B 결제사업을 바탕으로 올해 하반기 혹은 내년 초 신규 투자 유치에 나설 계획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차이코퍼레이션에 투자한 한 VC 심사역은 "비용 감축을 위해선 B2C 사업을 접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며 "B2B 결제 사업의 성패가 회사로선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