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내 준공해도 분양 안돼 대금 못받아"…하도급까지 부실 전이

[건설사 줄폐업]시름 깊어지는 건설업계
AA급 건설사도 회사채 대거 미달
신보 P-CBO 손벌리는 기업 늘어
중견사도 빚감당 못해 법정관리행
올 부도업체 두자릿수로 늘 가능성


중소형 건설사들이 현금을 확보하는 주된 수단은 분양 수익이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공사 비용이 급상승했고 미분양마저 늘어나면서 유동성이 급격하게 쪼그라들었다. 이 같은 자금 경색은 자본시장을 통해 채권을 발행하거나 대출을 받을 수 있는 1군 건설사들보다 지방·중소형 건설사의 경우가 더 심각하다. 겨우 자금을 확보해도 두 자릿수가 넘어가는 이자 비용을 감내하기가 어렵다. 문을 닫는 건설사들이 늘어나면서 하도급을 받아 공사를 진행하는 건설기계 설비 업계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한 자릿수였던 부도 발생 업체가 올해는 두 자릿수 이상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자금 조달 막힌 중소 건설사들 신보에 SOS=최근 한국은행이 2회 연속 금리를 동결하면서 채권시장은 숨통이 좀 트였으나 건설사들은 예외다. 1군 건설사인 현대건설이나 삼성물산 등 AA급 이상도 겨우 투자자 모집이 가능한 수준이다. 실제로 이달 회사채를 발행해 자금을 조달한 신세계건설은 재계 11위 신세계그룹 산하 건설사임에도 800억 원 목표에 100억 원을 모집하는 데 그쳤다.


채권을 발행할 체력조차 안 되는 중소 건설사들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금융기관에서 가까스로 대출을 받아도 두 자릿수에 달하는 이자 비용에 무릎을 꿇고 폐업 처리를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사업이 중단된 개발 현장들은 결국 대주단의 손에 넘어가 헐값에 공매로 넘겨진다. 광주 지역의 한 건설사 관계자는 “공사비가 천정부지로 치솟아 시공사가 대출을 받아 겨우 준공을 해도 분양이 안 돼 정산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곳이 많다”며 “상황이 이렇다 보니 최근에는 시행·시공을 같이하는 1군 건설사 말고는 대부분 손을 놓고 있다”고 전했다.


자금 경색이 심화되자 신용보증기금에서 지원하는 P-CBO 문을 두드리는 중소 건설사도 크게 늘었다. 이에 신보도 당초 3월로 예정된 P-CBO 발행 일정을 2월로 앞당겨 자금 경색이 심해진 건설사들과 여신전문금융회사들을 대상으로 자금을 지원했다. 신보 관계자는 “올해 지원을 신청하는 건설사들이 많아져 발행을 서둘렀다”며 “매달 P-CBO 발행량이 정해져 있어 일정이 밀리면 몇 달을 기다려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에는 태영건설(300억 원)을 비롯해 HL D&I한라(20억 원), 태삼건설(20억 원), 하하건설(20억 원) 등이 신보를 찾아 P-CBO를 발행했다. 광덕종합건설(1억 1000만 원), 고려종합개발(2억 4000만 원), 다음건설(4억 원), 이평종합건설(6억 원), 디앤시건설(8억 원) 등 비교적 소액을 조달한 곳들도 많았다. 조달금리가 5~6%대로 낮은 덕분이다.


◇법정관리 늘고 하도급까지 부실 전이=정부의 지원을 받고도 쌓여가는 채무를 버티지 못해 법원의 문을 두드리는 건설사들도 발생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방 중소 건설사의 한계기업 비중은 2021년 12.3%에서 지난해 16.7%로 치솟은 상태다.


법조계에 따르면 설립 71년 차, 시공능력평가 109위의 중견 건설사인 대창기업은 최근 서울회생법원에 회생 신청서를 제출했다. 감사 보고서에 따르면 대창기업이 지난해 전국 53개의 건설 현장에서 받지 못한 공사 미수금 미청구 금액이 506억 원에 달한다. 법원은 2월과 3월 각각 회생 신청이 접수된 대우조선해양건설과 에이치엔아이엔씨에 대해 회생절차를 개시한 상태다. 범현대가 일원 정대선 씨가 최대주주인 에이치엔아이엔씨는 지난해 분양한 속초 헤리엇 THE228 등에서 다량의 미분양이 발생하며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도급 업체들의 어려움은 더 크다. 조인호 대한기계설비협회장은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가가 오르고 경기마저 하강 국면에 있어 회원사들이 굉장히 힘들어 한다”며 “지난해까지만 하더라도 1년에 발생하는 부도 업체 수는 한 자릿수였지만 올해에는 두 자릿수로 늘어나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