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데타 뒤 군벌 1·2인자 ‘권력다툼’…이집트·리비아 주변국 개입 [글로벌 What]

■수단 내전의 배경과 각국 이해관계
2019년 알바시르 축출 성공 후
알부르한·다갈로 권력싸움 발생
충돌 이후 사상자 최소 4000명
홍해 둘러싼 지정학적 위치 등
주변국 정치·경제적 이해 얽혀
러시아 등 반군 지원 정황도 포착

수단 군부 세력 간의 무력 충돌이 격화하는 가운데 양측과 이해관계로 얽힌 주변국들이 속속 군사 지원에 나서면서 사태가 대리전 양상으로 치닫는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분쟁이 1주일째 지속되면서 수단에서는 민간인을 포함해 4000명에 달하는 사상자가 속출했다. 교전이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되자 세계 각국은 대사관을 철수하고 자국민 탈출을 위해 육해와 해로로 운송 수단을 급파하는 등 긴급 지원에 나서고 있다.



사진 설명


◇쿠데타 성공 이후 군벌 세력 내전 돌입=로이터통신 등 외신은 22일(현지 시간) 수단 정부군과 이에 반발하는 군부 세력 간 무력 충돌이 사흘간(21~23일)의 휴전 합의에도 불구하고 산발적인 교전으로 지속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달 15일 시작된 수단 내전은 현 정부군 지도자인 알델 파타 알부르한 장군과 반군 준군사조직인 신속지원군(RSF)을 이끄는 모하메드 함단 다갈로 사령관 간 권력 다툼에서 촉발됐다. 정부군과 RSF는 2019년 함께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30년 독재자인 오마르 알바시르 전 대통령을 축출하고 새 정권을 수립했다. 그러나 이후 RSF의 정규군 통합안, 군 지휘 체계 문제 등을 두고 알부르한 장군과 다갈로 사령관 간이 불협화음이 커졌다. 알부르한 장군이 군 편제로 RSF 견제를 시도한 뒤 다갈로 사령관이 일으킨 반란이 전국적인 유혈 사태로 이어졌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15일부터 21일까지 수단에서 413명의 사망자를 포함해 최소 40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주변국들의 개입=군벌 간 알력으로 비롯된 내전에 두 세력과 밀착한 주변국들의 개입이 이어지자 수단이 외세 대리전의 무대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수단은 아프리카 대륙에서 7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특히 홍해를 둘러싼 전략적 위치, 나일강에 대한 접근성, 막대한 금 매장량 등으로 주변국들의 정치·경제적 이해관계가 수단 정부 세력과 복잡하게 얽혀 있다는 분석이다.


RSF는 리비아와 러시아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리비아 동부를 장악한 군벌 수장 칼리파 하프타르가 17일 탄약을 포함한 군사 물자를 실은 비행기 최소 한 대를 RSF에 보냈다”고 보도했다. RSF는 리비아 내전 당시 하프타르에게 병력 1000명을 지원한 바 있다. 이어 20일에는 러시아 용병단 바그너그룹이 RSF에 지대공미사일을 공급한 정황이 포착됐다. 러시아는 바그너그룹을 통해 다갈로 사령관과 결탁한 뒤 수단의 금광채굴권을 확보해 막대한 경제적 이득을 얻고 있다고 전해진다. RSF 측은 리비아와 러시아의 지원 사실을 부인했다. 한편 알부르한 장군과 친밀한 관계를 이어온 이집트는 정부군 측에 전투기와 조종사를 지원하고 있다. 나일강을 두고 에티오피아와 대립 중인 이집트로서는 두 국가 사이에 위치한 수단과의 연대가 중요하다. 뉴욕타임스(NYT)는 “외세는 나일강·홍해에 대한 전략적 위치를 갖춘 아프리카에서 세 번째로 큰 국가이자 막대한 광물 자원과 농업 잠재력을 가진 수단에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다.


◇각국, 자국민 대피 작전=수단 내 무력 충돌이 격화하며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자 세계 각국은 자국민 대피를 위한 작전에 긴급 착수했다. 수단 정부군과 군벌은 3일간의 휴전을 약속한 뒤 일부 공항을 열겠다고 밝혔다. 이에 23일 미국 정부는 수단에서 외교관과 그 가족들을 전원 철수시켰으며 수단 주재 미국대사관을 폐쇄하고 업무를 일시 중단한다고 밝혔다. 프랑스 정부 역시 외교부 성명에서 신속 작전으로 자국민과 외교관의 대피를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앞서 사우디아라비아 정부 역시 자국민 157명을 제다로 철수시켰다. 한국·영국·일본 등도 자국민 대피를 위해 인근 지역에 공군 수송기를 급파한 상태다. 외신들은 “수단 내에서 교전이 지속되고 있어 공항은 물론 수도와 육로를 통한 외국인 철수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