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길어지는 수출 위기 터널, 첨단 바이오가 돌파구다

우리 경제가 이달까지 7개월째 수출 감소의 터널에 갇히면서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 성장을 견인할 첨단 신산업 육성이 절실해졌다. 무역 의존도가 75%가량인 한국 경제의 성장 동력이 꺼지지 않게 하려면 반도체·자동차·2차전지·디스플레이 등 기존 전략기술 산업의 역량 강화 못지 않게 첨단 바이오헬스케어·원전·방산 등 잠재력이 큰 신산업을 집중 육성해야 한다. 수출구조 다변화와 산업 체질 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 것이다.


특히 글로벌 시장 규모 2600조 원에 달하는 바이오헬스 분야는 경제력 측면뿐 아니라 국민 보건, 안보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산업이다. 지난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바이오 안보 강화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중국도 바이오 경제 5개년 계획을 발표한 이유다. 윤석열 대통령도 최근 바이오헬스를 핵심 전략산업이자 ‘제2의 반도체’로 키우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다.


하지만 바이오헬스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전략산업으로 육성하려면 갈 길이 멀다. 한국의 바이오헬스는 아직 혁신을 주도하는 ‘퍼스트무버(first mover)’가 아닌 ‘패스트팔로어(fast follower)’ 단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바이오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2%도 되지 않는다. 전 세계에서 비대면 진료, 인공지능(AI) 진단, 디지털 치료제 등 첨단 융복합 기술과 결합한 바이오헬스 시장이 급팽창하고 있지만 우리는 그에 걸맞은 법·제도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상태다. 산학연 융합 연구와 사업화 과정이 매끄럽게 이어지는 바이오 생태계도 형성하지 못했다.


바이오헬스 분야의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꾸준히 투자해야 한다. 이 분야에서 기술 초격차의 성과를 내려면 미국 보스턴, 스위스 바젤, 싱가포르처럼 기업과 대학·병원·연구소 등이 함께 머리를 맞대는 바이오 클러스터를 조성해 과감한 혁신과 투자를 이끌어내야 한다. 또 첨단 바이오 분야를 아우르는 범부처 컨트롤타워를 구축해 고급 인재 양성과 기술력 제고를 위한 전방위 지원에 나서야 한다. 세제·예산 지원을 늘리고 혁신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 사슬을 조속히 제거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