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변종 '감염병X' 대비…하루 100만 명 확진 대응 체계 마련

중환자 치료병상 3500개 확보
감염병 조기경보 통합체계 구축




11일 서울의 한 약국 출입문에 약국 내 마스크 착용 의무 안내문이 붙어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국내 코로나19 비상사태가 3년 4개월 만에 끝났다면서 사실상 '코로나19 엔데믹(Endemic·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을 선언했다. 오승현 기자

방역 당국이 또 다른 신종 감염병 팬데믹 발생 가능성에 대비해 유행 발생 후 100~200일 이내 백신과 치료제 등 주요 대응 수단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또 하루 100만 명의 환자가 발생하는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정부가 11일 사실상의 코로나19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을 선언하면서 코로나19 이후 신·변종 감염병(Disease X)에 대비한 중장기 계획을 발표했다. 질병관리청 관계자는 “유행 후 이른 시점에 백신 등을 개발하고 하루 100만 명 확진자 발생에 대응할 수 있도록 체계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대응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신종 감염병 유행 100일 혹은 200일 이내에 백신 등 주요 대응 수단을 확보하기 위해 백신과 치료제 개발 관련 연구개발을 지원한다. 호흡기바이러스·출혈열바이러스 등 국내 우선순위 감염병을 선정하고 우선순위병원체, 시제품 백신을 사전에 생산해 비축하는 한편 메신저 리보핵산(mRNA) 등 핵심 플랫폼 확보를 추진한다.


뿐만 아니라 62만 명의 코로나19 하루 최대 확진자보다 많은 100만명의 일일 확진자 발생에 대비해 방역·의료 역량을 갖추는 데에도 힘을 쏟는다. 확진자 폭증 상황에서 초과 사망 등 방역·의료 대응 역량의 한계가 드러났다는 당국의 평가다.


대규모 유행에도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1주일 내 동원할 수 있는 중환자 치료 가능 상시병상 3500개를 확보하고, 지역 간·내 병상 불균형으로 여러 병원을 전전하는 상황을 막기 위해 감염병전문병원 중심 권역완결형 대응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나아가 인구 10만 명 미만 시·군·구에서도 역학조사관을 배치하도록 근거를 마련하고, 유행 규모가 커질 때에도 대응 가능하도록 유행 초기-확산-최대 유행 등 단계별로 인력 비상동원체계를 구축한다.


또 감염병 조기경보를 위한 통합 감시체계를 구축한다. 감염병 종합지능 플랫폼을 통해 분절적으로 활용되는 기존 해외·국내 감시 등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하수·오수 감시 인수공통감시, 건강보험, 인구이동량 등 다양한 데이터를 종합 분석한다. 해외 발생 감염병에 대해서는 사건 기반 감시를 강화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