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z-FOCUS] 벌써 700만톤 확보…SK·삼성·GS·포스코, 탄소포집에 꽂혔다

◆韓기업 CCUS 기술개발 분주
온실가스 감축 주요대안으로 부상
SK어스온 연 200만톤 확보 목표
해외기업 손잡고 저장소 개발 추진
포스코·삼성은 CCS 사업화 '속도'

주요 기업들이 탄소 중립을 실현하면서 미래 기후변화 산업의 주도권을 가져가기 위해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 개발과 사업 추진에 적극 나서고 있다. 기존 제조 공정에 탄소 포집과 활용 설비를 설치하고 해외 가스전을 개발해 저장 사업에 뛰어드는 등 2050년 탄소 중립 대비에 한창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SK·포스코·삼성엔지니어링 등 주요 기업들은 에너지 자회사와 그린 사업부를 통해 CCUS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CCUS는 화석연료 사용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포집해 저장하거나 활용하는 기술이다. 화석연료로부터 나오는 탄소를 모아 저장하는 CCS와 포집한 탄소를 유용하게 활용하는 CCU를 포괄한다. CCUS는 핵심 기간산업에 불가피하게 따라오는 온실가스 배출의 장기적 대안으로 평가받는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이 기술이 2050년까지의 온실가스 감축에 18% 기여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CCUS의 역할을 확대한 상태다. 최근 정부는 CCUS의 2030년 감축 목표를 기존 1030만 톤에서 1120만 톤으로 90만 톤 늘렸다.


이에 석유화학 등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높은 산업들은 기존 공정에 CCUS 관련 설비를 적용하며 탄소 감축을 서두르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울산CLX에 자체 연구개발(R&D)로 확보한 CCU 기술을 적용했다. 이산화탄소 회수 시설을 설치해 포집한 후 이를 반도체 에칭용, 용접, 드라이아이스, 식물 재배 등의 타 산업계에 판매하고 있다.


포스코는 파이넥스 공정 부생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상용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를 운영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의 배가스는 75%가량 이산화탄소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를 코크스 오븐에 주입해 공정 연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광구·탐사 개발을 주력으로 해온 에너지 기업들은 포집한 탄소를 묻을 국내외 저장소를 확보하며 CCS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저장소를 탐사하고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술 역량이 석유 및 가스 개발 사업에 적용되는 지하 구조 평가 기술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이다.


SK어스온은 2030년까지 연간 200만 톤 규모의 저장소를 확보해 SK그룹은 물론 국내외 타 기업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까지 처리하겠다는 목표로 CCS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는 서해와 동해에서 각각 저장소 후보지 확보를 추진 중이고 해외에서는 말레이시아와 호주의 저장소 사업에 참여할 계획이다. SK E&S도 호주 기업 산토스 등과 함께 이산화탄소 저장소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액화 이산화탄소를 호주 다윈 지역에 하역한 뒤 동티모르 해상 가스전에 영구 저장하는 프로젝트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CCS 사업화를 위해 지난해부터 호주에서 고갈된 해상 가스전을 활용해 CCS 사업의 경제성을 분석하고 있다. 지난해 인수한 호주 세넥스에너지와도 CCS 사업화를 위한 기술평가와 경제성 분석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국영 석유 기업 페트로나스와 함께 국내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염대수층과 해상 고갈 가스전에 저장하는 사업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삼성엔지니어링도 국내 산업단지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말레이시아로 이송·저장하는 사업인 셰퍼드 CCS 프로젝트를 국내외 6개사와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아직 상용화를 시작한 곳은 없지만 탄소 중립 시기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기술 확보와 사업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며 “화석연료에서 수소경제로 전환하기 위해서도 CCUS 기술 개발과 사업화는 필수적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