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전 지구 기온을 사상 최고 수준으로 높였던 엘니뇨가 돌아온다. 지구 기온을 끌어올리고 남아시아·호주 등에 가뭄을 유발하는 이 현상의 귀환에 세계가 긴장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전쟁 여파로 급등했다 가까스로 진정된 식량 가격이 다시 뛰어오를 것이라는 우려가 집중적으로 제기된다. 설탕·올리브유 등 일부 품목은 이미 기록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국제 기상 및 과학 기구들은 엘니뇨가 임박했다는 전망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12일(현지 시간) 엘니뇨의 전조라 일컬어지는 켈빈파(Kevlin wave)가 적도 부근에서 형성돼 따뜻한 물을 서태평양에서 동태평양으로 이동시키고 있다고 발표했다. 엘니뇨는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0.5도 이상 높은 상황이 5개월 이상 지속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앞서 3일 세계기상기구(WMO)는 엘니뇨가 5~7월 나타날 확률이 60%에 이르며 7~9월에는 80%까지 늘어난다고 예측했다. 미 국립해양대기국(NOAA)도 11일 엘니뇨가 7월 전에 발생해 북반구 겨울까지 지속될 확률을 종전의 60%에서 82%로 올려 잡았다.
국제기구들이 2~7년마다 찾아오는 자연 현상인 엘니뇨의 발생 시점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은 엘니뇨의 유발 효과 때문이다. 엘니뇨는 지구 온도를 약 0.2도 높이고 호주·인도네시아·남아시아 일부 지역에는 가뭄을, 미국 남부와 아프리카 동부 등에는 폭우를 유발한다. 엘니뇨가 극심했던 2016년은 온실가스 효과가 겹치며 가장 더웠던 해로 기록됐다. 기후변화가 엘니뇨의 기온 상승 효과를 극대화하는 셈인데 기온 상승 억제 효과가 있는 라니냐가 2020년부터 3년간 이어졌음에도 최근 이상고온이 잇따르고 있어 우려가 나온다. WMO는 “엘니뇨가 발생하면 온난화는 가속화하고 지구 기온은 기록을 경신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짚었다.
무엇보다도 전문가들은 이번 엘니뇨, 나아가 기후 위기가 식량 가격에 미칠 영향을 주목해야 한다고 경고한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집계하는 국제 식량 가격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이상고온 여파로 지난해 3월 역대 최고치를 찍은 뒤 가까스로 하락했다. 문제는 엘니뇨에 취약한 인도 및 동남아 국가, 현재 가뭄을 겪고 있는 유럽 국가가 주요 산지인 식량 가격 상승세가 최근 심상치 않다는 점이다. FAO에 따르면 지난달 설탕 가격은 11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았으며 쌀 가격은 전월 대비 2.5%, 전년 대비 17.8% 올랐다. 국제 올리브유 가격은 최대 생산 국가인 스페인의 가뭄 탓에 2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농업분석회사 그로인텔리전스는 “엘니뇨가 아메리카·아프리카 대륙과 남아시아의 식량 생산에 잠재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