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RV값 6% 올라도…현대차·기아, 美·유럽 공장 풀가동

■고급 라인업 글로벌 안착
환율효과 속 평균판매가 5~6%↑
제네시스· SUV 등 고수익車 불티
현대차 해외 가동률 100% 넘어
국내서도 특근…수출 물량 대응

기아 텔루라이드가 주행하고 있다. 사진 제공=기아


기아(000270)의 현지 공장은 모두 풀가동 상태에 돌입했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해외에서 팔린 현대차 RV의 평균 가격은 올 1분기 6621만 원으로 전년 대비 5.5% 높아졌다. 지난해 평균 판매가가 6000만 원을 처음 넘어선 데 이어 상승세를 이어갔다. 기아의 경우 5405만 원으로 6.2% 올랐다.




반면 한국에서는 평균 판매가 상승 폭이 미미했다. 현대차의 국내 RV 평균 가격은 각각 4640만 원에서 4674만 원 올랐고 기아는 4356만 원에서 4394만 원으로 상승하는 데 그쳤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북미와 유럽 등 해외시장의 경우 환율 영향으로 국내 시장보다 상승 폭이 더 컸다”고 설명했다.


환율 효과와 함께 비싼 차종이 해외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점도 주효했다. 미국에서는 준대형 SUV인 기아 텔루라이드 판매량이 2만 7000대로 지난해 1분기보다 23% 증가했다. 기아 스포티지도 미국 시장에서 저가 트림 선택 비중이 2021년 80%에서 올 1분기 7%로 줄어드는 등 전반적인 상위 트림 선택 비중이 높아졌다. 텔루라이드 생산 물량을 확대하는 등 고수익 차종 판매를 강화하겠다는 게 기아의 구상이다.


현대차의 경우 미국에서 제네시스 브랜드의 약진이 눈에 띈다. 올 1분기 판매량은 총 1만 3769대로 전년 동기에 비해 36%나 뛰었다. 지난해에는 해외 판매량의 70% 이상이 미국에서 나왔다. 제네시스는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5만 6410대를 팔아 일본 닛산의 고급차 인피니티(4만 6619대)를 제쳤다. 3월 글로벌 누적 판매 90만 대를 돌파한 제네시스는 3분기 중 100만 대 고지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럽 성장세도 견조했다. 현대차·기아의 1분기 유럽 판매는 28만 2193대로 전년 동기보다 4.7% 늘었다. 현대차와 기아 모두 투싼·스포티지 등 SUV 차종을 가장 많이 팔았다.


이는 현대차그룹의 높은 수익성으로 이어졌다. 현대차·기아는 1분기 합산 매출 61조 4693억 원, 영업이익 6조 4666억 원으로 영업이익률 10.5%를 기록했다. 메르세데스벤츠(14.9%), BMW그룹(12.1%), 테슬라(11.4%)에 이어 영업이익률 4위로 대중 브랜드 중에서는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기아의 영업이익률은 12.1%로 테슬라에 앞섰다.


현대차그룹은 미국과 유럽에서 공장을 바쁘게 돌리며 현지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특히 현대차의 주요 해외 공장 가동률은 올 1분기 기준 모두 100%를 넘었다. 미국 앨라배마 공장과 체코 공장은 각각 101.3%, 103.4%를 기록했다. 지난해의 경우 92.5%, 97.7%였다.


기아의 미국·유럽 공장도 사실상 완전 가동 상태다. 미 조지아주 공장과 슬로바키아 공장은 올 1분기 각각 101.9%, 99.3%의 가동률을 보였다. 현대차그룹은 수출 물량을 확대하기 위해 국내에서도 특근을 실시하며 가동률을 높였다. 현대차와 기아 국내 공장 가동률은 각각 112.9%, 107.3%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6.2%포인트, 19.5%포인트 올랐다.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까지는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이 생산에 어느 정도 차질이 생겼는데 올해부터는 해소되는 분위기”라며 “통상 1분기가 자동차 비수기로 분류되는 점을 고려하면 2분기부터 공장 가동률이 더 높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