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 농가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 농촌소멸을 예고하는 징후가 뚜렷해지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도시 은퇴자 등을 농촌에 연계한 농업·농촌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경기연구원이 18일 발간한 ‘위기와 기회의 농업 농촌, 혁신과 포용으로 풀자’ 보고서를 보면 2010~2021년 대한민국 2인 이상 도시근로자 가구당 소득 대비 농가소득 비중은 2010년 66.8%이던 것이 2021년 64.1%로 한층 낮아졌다.
농가소득 저하와 맞물려 농업인구 감소와 고령화는 도 내에서도 피할 수 없는 숙제가 됐다.
도 내 농가 인구는 2010년 41만 명이던 것이 2021년 28만 명으로 감소했다. 또한 65세 이상 고령농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24.7%에서 2021년 41.1%로 증가하고 있다.
이 같은 위기 속에서도 활로가 없는 것은 아니다.
농업의 생산, 유통, 소비 등 전 영역에 걸쳐 인공지능(AI)이 분석 및 의사결정을 내리는 스마트팜 기술의 디지털농업 도입 확대되는 등 농업과 첨단기술 융복합을 통한 농업경쟁력의 획기적 개선이 기대되고 있다고 보고서는 짚었다.
식품산업과 4차 산업기술을 융복합한 푸드테크(FoodTech)도 농업·농촌의 새로운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확대되면서 도시 은퇴자와 고령자 가운데 37.2%(2022년 기준)가 귀농·귀촌 의향이 있을 정도로 도시민의 농업·농촌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는 것은 긍정적 신호다. 스마트팜이나 푸드테크에 기존 농업보다 노동력이 덜 투입된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보고서는 농업·농촌의 기회적인 요인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21세기 성장산업 스마트팜, 푸드테크 등 혁신적인 농업정책 강화 ▲도시·농촌을 연계한 상생과 포용의 농업?농촌정책을 통해 농가소득 향상 방안 모색 ▲젊은 층의 적극적인 농업창업을 위한 단계적인 농업창업 지원체계 구축 ▲은퇴농 소유 농업시설의 실질적인 임대가 가능하도록 관련법 개정 ▲푸드테크 시장 규모 확대에 대응한 콘텐츠 개발 및 창업 지원체계 구축 ▲은퇴자와 고령자를 대상으로 포용의 사회농업 추진 ▲장애인, 사회 부적응자 등 농업을 통해 사회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 등을 제시했다.
이수행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최대의 인적자원과 연계할 수 있고, 대도시와 농촌이 인접한 경기도가 농식품산업 창업 시험장(테스트베드) 구축, 은퇴자?고령자 등의 포용과 상생 사회농업 추진 등 농업?농촌 발전을 선도하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