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5일 기준금리를 연 3.50%로 동결하면서도 물가 상승률이 상당 기간 목표 수준을 상회할 수 있다며 긴축 기조를 이어간다는 방침을 밝혔다.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6%에서 1.4%로 낮춘 데 이어 높은 경기 불확실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25일 한은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을 통해 “물가 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지속하겠지만 상당기간 목표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현재 긴축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봤다”며 “추가 인상 필요성은 대내외 정책 여건의 변화를 점검하면서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기준금리를 3연속 동결하면서 사실상 금리 인상을 멈췄으나 추가 인상 가능성은 열어둔 것이다.
금통위는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 등 영향으로 상당폭 낮아졌다가 이후 소폭 높아지면서 연말까지 3% 내외에서 등락할 것으로 봤다. 올해 물가가 2%대까지 낮아지더라도 정책 목표치(2%)에 수렴하는 것이 아니라 연말엔 다시 오를 수 있다는 것이다. 근원물가 상승률도 지난 전망치 3.0%보다 0.3%포인트 높은 3.3%를 제시했다.
국내 경제와 관련해서는 높은 불확실성을 강조했다. 국내 경제가 당분간 부진한 성장 흐름을 이어가겠지만 하반기부터 정보통신(IT) 경기 부진 완화, 중국 경제 회복 영향 파급 등으로 점차 회복할 수 있다는 기대다. 다만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1.6%에서 1.4%로 0.2%포인트 낮췄다. IT 경기 반등 시기, 중국 경제 회복의 국내 파급영향 정도, 주요 선진국의 경기 흐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금융·외환시장에선 원·달러 환율이 무역수지 흐름, 미국 연방준비제도(Feb·연준)의 정책금리 인상 종료 기대, 미국 부채한도 협상 등에 따라 상당 폭 등락했다고 평가했다. 장기 국고채금리는 주요국 국채금리 움직임에 따라 다소 상승했다는 평가다. 가계대출은 소폭 증가, 주택가격은 하락 폭 축소됐다.
금통위는 향후 추가 인상 필요성을 점검할 때 판단할 요인으로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 ‘성장의 하방위험과 금융안정 측면의 리스크’, ‘그간의 금리인상 파급효과’,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등을 점검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 4월 금통위에서 밝힌 순서와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