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의 세계도시화 보고서에 따르면 1950년 약 30%에 불과했던 전 세계 도시화율은 2050년까지 약 70%에 이를 것이라고 한다. 100년 만에 도시화 지역이 비도시화 지역의 2배가 넘게 되는 것이다. 급속한 도시화에 따라 인구와 자원 소비가 도시에 집중되면서 교통혼잡·환경오염·재난안전사고 등 각종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도시 정책을 펼쳐왔다. 특히 디지털 혁신 기술을 통해 한정된 비용으로 도시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활용해 가치를 극대화하는 ‘스마트도시’가 중요한 정책 수단이 됐다. 정부는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주민·기업과 협력하면서 혁신적인 서비스를 찾아내고 만들어나가는 스마트도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지역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아무리 좋은 첨단 서비스라도 지역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면 무용지물이 될 수밖에 없다. 학생 비율이 높은 도시는 보육·교육 솔루션이 효과적일 것이고 인구밀도가 낮아 대규모 대중교통시설이 부족한 도시는 수요응답버스나 자율주행 셔틀과 같은 맞춤형 교통 솔루션이 필요할 것이다.
충남 서산시는 지역 특성을 살린 스마트시티의 대표 도시다. 서산시는 배송이 곤란한 도서 지역을 위해 2020년 드론을 활용한 ‘긴급물품배송 서비스’를 통해 1시간 30분 걸리던 배송 시간을 40분까지 단축시켰다. 지난해에는 사고가 잦은 8곳을 찾아 보행자를 감지하고 알림판으로 운전자가 위험 상황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스마트 횡단보도’를 설치했다. 그 결과 신호 위반 시도 건수는 47.6%, 실제 신호 위반 건수는 15.6% 감소했다. 지역 특성을 살린 스마트화 추진으로 도시를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만들었고 주민들의 만족도도 높아 호평을 받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5월 4일 스마트도시의 확산 거점을 조성하는 거점형 사업과 기후위기·지역소멸 등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강소형 사업을 선정했다. 챗GPT 기반의 인공지능(AI) 행정 서비스로 100만 인구의 다양한 행정 수요에 최적화된 도시, 유휴시설을 활용한 스마트오피스로 인구 유입을 꾀하는 도시, 폐어망 같은 폐자원 수거 공정을 디지털화해 해양 쓰레기를 해결하는 도시 등 지역 특성에 맞는 혁신적 서비스를 제시한 6개 도시가 사업지로 선정됐다. 이들 도시는 앞으로 총 880억 원을 지원받게 된다.
지역의 특성을 잘 살리고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도시 모델 발굴을 위해서는 지방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여기에 기업들의 혁신적인 기술·서비스 개발,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소통, 중앙정부의 든든한 지원이 함께한다면 스마트도시의 활성화와 확산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국토부는 9월 개최하는 월드스마트도시 엑스포(WSCE)에서 국내 도시들의 스마트화 현황을 전 세계에 공개할 계획이다. 이는 우리의 스마트도시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기회이자 스마트시티 플랫폼을 구축하고 비즈니스 기회를 넓히는 새로운 계기가 될 것이다. 스마트도시를 통해 어디에서나 골고루 잘사는 대한민국을 실현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