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암연구기관(IARC) 통계에 따르면 위암은 발생률 5위, 사망률 4위에 해당하는 중증 암종이다. 한국은 전 세계적으로 위암 발생률이 높은 국가에 속한다. 2020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새롭게 진단된 암 24만 7952건 중 위암은 2만 6662건(10.8%)으로 발생률 4위에 올랐다. 초기 위암은 수술만으로 완치 확률이 높지만 암이 진행될 경우 생존율이 급격히 떨어진다. 40세 이상이라면 2년에 1번씩 정기 검진을 받는 것이 예방을 위한 최선의 방법이다.
위암은 위 점막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주로 위 선암을 뜻한다. 점막 또는 점막하층을 따라 위 내에 넓게 퍼지거나 점막층에서 장막층을 향해 깊이 퍼지는 경우도 있다. 가장 바깥층인 장막층을 뚫고 침범한 경우 복강 내로 위암이 그대로 노출돼 복강 다양한 부위에 복막 전이가 발생할 수 있다. 위 주변의 임파선 혹은 혈관을 따라 간, 폐, 뼈 등 다른 장기로 퍼지기도 한다. 위암의 대표적 위험인자로는 술·염장 음식·훈연·방부제 처리된 가공육이 꼽힌다. 식품처리제와 흡연도 위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는 만큼 주의해야 한다. 반대로 일부 과일이나 비타민을 적절하게 섭취하면 위암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
만성 위축성 위염·장상피화생·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등 기존 질병으로 인해 위암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전구병변 요인 가운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만성 감염은 위암 발생 위험도를 2.8~6배 증가시키며 특히 위 중하부 위암의 발생 위험성을 높인다고 알려져 있다.
위암 초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간혹 통증·소화불량·복부 팽만감·식욕부진 등의 증상을 동반하기도 하는데 위암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경우가 많다. 특히 위염이나 위궤양의 증세와 유사하다 보니 치료시기를 놓치기 쉽다. 발병 초기에 치료를 받지 못해 위암이 많이 진행된 경우 종종 복부에 딱딱한 덩어리가 만져지거나 구토·토혈·흑변·체중 감소·복부팽만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위암이 진행되면 치료 결과가 좋지 않거나 완치가 불가능한 경우도 더러 있기 때문에 무증상이더라도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가장 권장되는 1차 검사는 평소 아무 증상이 없더라도 위내시경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는 것이다. 정부는 40세 이상의 성인에게 국가암검진을 통해 최소 2년에 한 번씩 식도, 위, 십이지장을 직접 관찰하도록 권고한다. 내시경 검사 중 의심 부위가 관찰되면 조직검사를 시행해 즉시 위암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위암의 완치 또는 재발률은 처음 수술 당시 위암의 병기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암의 병기가 많이 진행될수록 재발률이 높고 생존율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위암은 수술 후 2~3년 이내에 재발되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수술 후 최소 5년까지는 재발 유무를 관찰하는 것이 좋다. 위암은 위벽 자체는 물론 주변 십이지장, 췌장, 간 등 인접 장기에 가깝게 분포하는 림프절 전이도 매우 흔하게 발생한다. 초기 위암이라도 충분한 안전거리를 두어 암과 인접한 정상 위조직을 포함해 안전하게 절제하고 주변 장기로 향하는 림프관과 림프절까지 폭넓게 절제하는 근치적 절제술이 표준 치료법이다.
최근에는 위암 수술에서도 큰 복부 절개 없이 복벽에 5mm~1cm의 최소 절개 구멍들을 통해 복강경 방식이 널리 시행되고 있다. 위 중하부 3분의 2를 절제하는 경우 복강경 수술이 표준 수술법으로 인정됐다. 복강경 수술이 기존 개복수술의 암 치료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합병증 위험을 줄이고 회복이 빨랐다는 국내 다기관 임상시험을 근거로 확보하면서다.
정기 검진을 통해 초기 위암이 발견된 경우에는 표준 절제술 뿐 아니라 위암의 위치에 따라 유문보존위절제술 또는 근위부 절제술 등 기능보존수술을 통해서도 항암 치료 없이 90% 이상의 확률로 완치를 기대할 수 있다. 만약 진단이 늦어져 진행성 단계에서 위암이 발견됐더라도 너무 낙담할 필요는 없다. 표준 근치적 절제술 이후 6개월 혹은 1년 동안 적극적인 보조항암치료를 받으면 완치율을 높일 수 있다. 한국은 세계에서 위암 발생률이 가장 높은 동시에 수준 높은 치료법의 발전을 주도하고 있다. 위암 생존율이 가장 높다는 점을 기억하고 전문의의 조언에 따라 꾸준히 치료받길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