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섭게 치솟던 전국 미분양 주택 물량이 2개월 연속 감소했다. 부동산 시장 침체로 공공 및 민간 분양 물량 자체가 줄면서 미분양도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대신 미분양 감소에도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올 들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1년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여기에 올해 전체 아파트 분양 물량이 반 토막이 나고 주택 인허가·착공 실적도 급감해 향후 2~3년 뒤 주택 공급난이 올 수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30일 발표한 ‘4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 1365가구로 나타났다. 이는 전달보다 1.0%(739가구) 감소한 수치다. 미분양 주택은 2월 7만 5438가구로 10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지만 3월 7만 2000여 가구로 3000가구 이상 줄어들면서 11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고 이달에도 이러한 추세를 이어갔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미분양은 지난달 1만 1609가구로 5.2%(575가구) 증가했지만 지방 미분양은 5만 9756가구로 2.2%(1314가구) 감소했다. 서울의 미분양도 1058가구로 전월보다 29가구 줄었다.
미분양 물량이 감소한 데는 건설사들이 분양 물량 자체를 줄인 탓이 컸다. 올 들어 4월까지 전국 누적 공동주택 분양은 3만 9231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7만 8894가구)보다 50.3% 줄었다. 수도권은 2만 4206가구로 42.9%, 지방은 1만 5025가구로 58.9% 각각 감소했다. 상대적으로 양호한 서울을 제외하고 다른 지역은 분양 경기가 좋지 않아 건설사들이 분양을 미루고 있고 이에 분양 물량 자체가 감소하면서 미분양 물량도 덩달아 줄어들었다는 분석이다. 일부 건설사들이 할인 분양에 나선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미분양은 줄었지만 공사가 끝난 뒤에도 수요자를 확보하지 못해 분양되지 못한 ‘준공 후 미분양’은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통계로도 나타난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지난달 8716가구로 전월보다 0.8%(66가구) 늘었다. 2021년 6월(9008가구) 이후 1년 10개월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자금 여력이 부족한 지방 중소·중견 건설사들의 유동성 리스크가 당분간 지속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대목이다.
분양 물량 외에 주택 인허가·착공 실적도 감소세를 이어갔다. 전체 주택 인허가 가구 수는 올 들어 지난달까지 누계 기준 12만 3371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16만 842가구)보다 23.3%나 줄었다. 다른 지역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수도권 인허가 물량은 4만 4566가구로 23.7%, 지방은 7만 8805가구로 23.1% 감소했다. 주택별로 보면 아파트가 전국 10만 6087가구로 17.5%, 아파트 외 주택(1만 7284가구)은 46.3% 감소했다. 빌라나 다세대주택과 같은 곳의 타격이 훨씬 컸다는 의미다.
주택 착공 실적이라고 상황이 크게 다르지는 않다. 지난달 착공 실적은 누계 6만 7305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3.2%나 급감했다. 아파트 착공이 전국 5만 2343가구로 41.1% 줄었고 아파트 외 주택(1만 4962가구)은 49.4% 감소했다. 서울의 하락 폭은 더 컸다. 서울 아파트 착공 물량은 6239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만 가구 가까이 감소(59.3%)했다.
인허가와 착공이 부진을 거듭하면서 일각에서는 앞으로 2∼3년 뒤 주택 공급난이 올 수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 통상 주택은 착공 이후 2∼3년 뒤 인허가 이후 3∼5년 뒤 공급이 이뤄지는 탓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올 들어 인허가·착공·준공 실적이 모두 평년보다 많은 편은 아니다”라며 “몇 년이 지나면 주택 분야에서 수급 불균형 이슈가 불거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