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눈] 공공미술관 관장의 무거운 책임

서지혜 문화부 기자


4월 사임한 윤범모 전 국립현대미술관 관장의 자리를 채울 인사를 뽑는 ‘6월 개방형 직위 공개 모집’이 1일부터 시작됐다. 새 미술관장이 누가 될 것인지는 최근 미술계의 뜨거운 화두다. ‘새 정부의 최측근이 관장 자리를 꿰찰 것’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기 때문이다. 새 정부의 최측근이란 모두 예상하듯 미술에 조예가 깊은 김건희 여사의 최측근을 말한다. 소문일 수 있지만 국립현대미술관이 국내 미술계와 일반 대중에게 미치는 영향을 생각하면 이런 소문은 꽤 낯 뜨겁고 불편한 게 사실이다.


윤 전 관장은 2019~2021년 관장직을 수행하고 지난해 2월 재임명됐다. 재임 당시 알박기 논란이 불거지면서 ‘현(문재인) 정부가 후임(윤석열) 정부의 발목을 잡았다’는 이야기도 나왔는데 편향적 전시, 직장 갑질 등의 사고로 스스로 그런 논란을 입증하고 떠났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전 정부의 사람이기 때문에 버티지 못했다’는 의견도 많다. 많은 미술계 공공기관 주요 인사들이 ‘현 정부가 문화계에서 ‘전임 정부의 사람’이라고 여겨지는 이들을 힘들게 하고 있다’는 하소연도 최근 종종 들린다. 해외 출장을 막는다거나 과도한 서류 업무로 사업 추진을 어렵게하는 등 일을 힘들게 한다는 것. 윤 전 관장 역시 ‘전임 정부의 사람’으로 재임기에 곤란을 종종 겪은 것으로 전해진다.


공공미술관은 대중의 미술 작품 진입 장벽을 낮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보기 어려운 국내외 작가의 작품을 전시하고 고급 문화로 여겨지는 미술품 감상의 소비자 저변을 확대하는 것도 공공미술관의 일이다. 전시 ‘기획’이 중요한 이유다. 대중이 잘 이해하고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의미 있는 전시 기획이 필요한 상황에서 3년이라는 짧은 관장의 임기는 굵직한 장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아킬레스건이다. 국립현대미술관이 한 해 700억 원 이상의 예산을 집행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미술관이라는 점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현재 전 세계의 예술계가 날로 커지는 한국 미술 시장을 주목하고 있다. 앞으로 2~3년이 시장 성장에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신인을 발굴하고 이를 대중화하는 국립현대미술관은 시장의 성장에도 중요하다. 때문에 새 관장 선발에서 고려해야 할 것은 ‘관계’가 아니다. 전문성과 기획력, 그리고 미술계에 대한 이해다. 이제 막 물꼬를 튼 미술 시장의 앞길을 막지 않는 신중하고 적확한 인사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