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경 금통위원 “환율, 코로나 이전인 1100원대로 돌아가기 힘들어”

고령화·해외투자 등 구조적 요인 영향
원화 절하돼도 수출 증가 효과 크지 않아
외국인 장기투자로 자본 유입 급감 가능성

서영경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이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2023년 한국은행 노동시장 세미나 모두연설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한은

서영경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이 해외 투자 증가 등 구조적 요인에 따라 원·달러 환율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하락하기 어렵다고 전망했다. 원화 약세로 인한 자본 유출 위험은 크지 않지만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과거보다 커졌다는 평가다.


서 위원은 2일 ‘BOK 컨퍼런스’에서 ‘팬데믹 이후의 뉴 노멀: 환율 변동의 파급경로 변화’를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이후 원화 환율이 약세를 보이면서 변동성도 커진 것은 미국 달러화 강세 등 글로벌 요인과 무역수지 흑자 축소와 해외 투자 증가 등 고유 요인이 작용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서 위원은 그러면서 경기적 요인뿐만 아니라 대중국 경쟁 심화, 인구 고령화, 기업·가계의 해외투자수요 확대 등 구조적 변화까지 겹친 만큼 원화 환율이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하락하긴 어렵다고 내다봤다. 연평균 원·달러 환율은 2018년 1100.5원, 2019년 1166.11원 등 1100원 수준에서 2020년 1180원, 2021년 1144.6원, 2022년 1292.2원으로 높아지다가 최근 1300원대를 이어가고 있다.


다만 무역수지를 통한 환율의 자동안정화 경로는 약화됐다고 평가했다. 서 위원은 “수출입가격의 달러 표시 확대, 중간재·에너지의 높은 수입의존도 등으로 원화가 절하되더라도 수출 증가와 수입 감소 효과가 크지 않기 때문”이라며 “원화 절하의 물가 전가 효과는 다른 수요나 공급 충격이 중첩되면서 발생한 점을 감안하면 과거보다 커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서 위원은 원화 약세와 변동성 증가에도 불구하고 자본유입이 급감할 위험은 크지 않다고 진단했다. 그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은행 부문의 단기외채 감소와 민간 대외자산 증가로 우리 경제의 ‘통화불일치(currency mismatch)’ 문제가 크게 완화됐다”며 “장기외채는 최근 외국인의 국내채권 투자 확대로 증가하면서 이들 자금이 원화 절하와 내외금리차 확대에 취약하다는 우려가 있으나 한국 경제의 펀더멘탈에 기초한 장기투자가 많다는 점에서 이러한 우려도 크지 않다”고 말했다.


대신 자본이동을 통한 환율 안정화 경로는 강화됐다고 판단했다. 지난해 이후 해외주식투자 유출 규모가 축소되고 지난해 말 관련 법 개정 이후 해외투자의 배당금 유입이 확대되는 점은 원화 절하 압력을 완화하는 요인이라는 것이다.


서 위원은 “무역수지를 통한 환율 자동안정화 기능이 약화됐기 때문에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 수출경쟁력 강화, 수출시장 다변화 등 구조적 노력이 중요하다”며 “자본수지를 통한 환율 자동안정화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선 해외직접투자의 배당금 환류 여건 개선, 외국인의 국내증권투자 유인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서 위원은 “한국처럼 자국 통화가 국제화되지 않은 국가는 ‘물가안정, 금융안정, 대외부문안정’ 간 트릴레마를 극복하기 위해 건전한 거시경제정책과 외환시장 안정화 정책을 병행하는 ‘통합적 정책체계(IPF)’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