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톈안먼 사태 34주년 앞두고 반체제 인사 통제 강화

베이징에 머물지 못하게 강제로 이전 당해

중국의 톈안먼 사태 34주년을 하루 앞둔 3일 톈안 운동가 관춘퐁(왼쪽)과 루카이가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홍콩 빅토리아 공원 입구에서 단식이라는 단어가 적힌 종이와 하루 정도 단식할 계획을 자세히 들고 있다. 두 사람은 경찰에 의해 곧 끌려갔다. AP연합


톈안먼 사태 34주년인 4일을 앞두고 중국의 반체제 인사 통제가 강화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3일 대만 중앙통신사는 원로 반체제 여성 언론인 가오위를 비롯한 반체제 인사들이 외부와 접촉을 차단하려는 보안 당국에 의해 ‘강제 여행’을 떠났다고 전했다.


지난 1일 보안 요원들에 끌려 허난성 뤄양으로 떠난 가오위는 그곳에서 머물다가 일주일 후에 베이징의 집으로 돌아올 것으로 알려졌다. 가오위의 트위터 계정도 지난달 31일 이후 새로운 글이 게재되지 않고 있다.


그는 ‘경제학 주보’의 부편집인으로 1989년 4월 시작된 대학생들의 톈안먼 민주화 시위를 적극적으로 보도했다는 이유로 당국의 유혈 진압 전날인 그해 6월3일 체포됐다. 이후 15개월간 복역했으며 1993년에는 국가기밀 누설죄로 체포돼 6년을 복역했다.


이어 2014년 4월 중국 공산당 기밀 문건을 미국에 서버를 둔 중화권 매체에 제공한 혐의로 체포돼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가 2015년 11월 건강 악화를 이유로 보석 됐다.


2004년 4월 톈안먼 광장에서 열린 후야오방 전 총서기 15주기 추모행사에 참석, 헌화했다가 경찰에 체포됐던 반체제 인사 후자도 최근 보안 요원들에 의해 허베이성 장자커우의 한 리조트로 끌려가 사실상 연금됐다.


후야오방은 1986년 12월 민주화를 요구하며 시위를 벌인 대학생들을 대화로 설득하려다 학생들에 동조했다는 이유로 이듬해 1월 실각한 뒤 1989년 4월 사망했다. 그를 추모하는 인파가 톈안먼 광장에 몰리면서 대규모 민주화 시위로 이어졌다.


1989년 톈안먼 민주화 시위를 주도했던 대학생 조직 '가오쯔롄'의 구이저우대학 대표였던 반체제 예술가 리펑도 지난달 말 보안당국으로부터 거주지인 베이징을 떠나 고향인 구이저우 쭌이에서 머물러야 한다는 통보를 받았다.


이들 외에도 톈안먼 민주화 시위 참가자들이나 인권 운동가들이 현지 공안 당국으로부터 톈안먼 사태 34주년을 앞두고 외부인들을 접촉하거나 연락하지 말라는 경고를 받았다고 중앙통신사는 전했다.


중국 당국은 매년 톈안먼 사태가 발생한 6월 4일을 앞두고 반체제 인사들에 대한 통제를 강화해왔다.


특히 지난해 10월 베이징 쓰퉁차오 고가도로에서 코로나19 방역 통제에 항의하고 시진핑 국가주석의 퇴진을 요구하는 현수막 시위가 발생한 것을 계기로 반체제 인사에 대한 통제가 더욱 강화됐다.


한편 대 중국 업무를 담당하는 대만 당국인 대륙위원회는 이날 홈페이지에 올린 보도자료를 통해 6·4 톈안먼 사건에 대한 반성, 진상 공표, 정치개혁과 함께 국민의 언론·신앙·집회와 결사의 자유 등에 대한 보장을 중국 측에 호소한다고 밝혔다.


이어 “베이징 당국은 (6·4 사건 당시) 무력을 동원해 감당할 수 없는 엄중한 후과를 초래한 것을 반성하고, 대만 인민의 주권과 존엄에 대한 견지를 존중하고, 강제와 협박으로 양안의 이견을 처리하는 것을 포기해야 한다”며 “그렇게 해야 비로소 전제 정치와 민주주의 간의 제도적 격차를 점점 축소해 양안의 상호 신뢰와 이해를 증진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대학생과 지식인 중심의 중국인들이 1989년 4월부터 톈안먼 광장에서 부정부패 척결과 민주개혁 등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자 중국 인민해방군이 그해 6월 4일 유혈 진압한 사건을 톈안먼 사태라고 일컫는다.


중국 공산당은 2021년 11월 채택한 제3차 역사 결의((당의 100년 분투의 중대 성취와 역사 경험에 관한 중국공산당 중앙의 결의)에서 톈안먼 시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엄중한 정치 풍파’로 규정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