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학 전 아카사 AI총괄 "프로그래밍 문맹률 떨어져…개발자 몸값 낮아질 차례"

■김병학 전 아카사 AI기술 총괄
소프트웨어 설계 역할 여전히 귀해
AI로 문제해결 옵션 얻을 수 있어
엔지니어로서 평생 학습 자세 중요




김병학 전 아카사 AI기술 총괄 /실리콘밸리=정혜진 특파원

챗GPT의 등장으로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맹률이 낮아지고 지난 10년 간 치솟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몸값이 떨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김병학(사진) 전 아카사 AI기술 총괄은 최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GPT4 등 대규모 언어모델(LLM)이 가져온 가장 큰 변화는 모든 사람들이 쉽게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할 수 있게 일종의 문맹률을 낮춘 것”이라며 “이제 다음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몸값이 낮아질 차례”라고 강조했다. 아카사는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헬스케어 AI 스타트업이다. 김 총괄은 미국 실리콘밸리의 잔뼈 굵은 AI전문가다. 통신칩 설계 회사인 미국 마벨 테크놀로지를 거쳐 온라인 교육 플랫폼 유다시티, 아카사에서 AI 엔지니어링을 총괄했다.


그는 생성형AI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업무에 빠르게 확산될 수 있는 이유로 프로그래밍 언어의 예측 가능성을 꼽았다. 김 총괄은 “영어나 한국어 등 언어들과 비교했을 때 프로그래밍 언어는 규칙을 정확히 구현하고 예측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자동화하기에 가장 쉽다”며 “단계를 밟을 때마다 다음 단계를 예측하는 것도 정확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생산성이 떨어지는 분야의 가격이 오르는 현상을 설명하는 보멀의 비용 질병(Baumol's cost disease) 현상을 언급하며 “스토리지나 네트워크 가격은 떨어져도 비용 하락이 없었던 유일한 분야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인건비였다”며 이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숙련된 엔지니어가 한 달에 10이라는 생산성을 냈다고 하면 또 다른 코드를 찾거나 디버깅(코드 오류 잡기) 등 과정에서 코파일럿 등의 도움을 받아 생산성을 50% 이상 올릴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그는 “아마존의 알렉사 같은 서비스를 만들어달라고 해서 만들어줄 수는 없기 때문에 소프트웨어를 설계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트의 역할은 여전히 유효하다”며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평생 학습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생성형AI가 큰 임팩트를 줄 수 있는 분야로 ‘샌드위치 워크플로우’를 언급했다. 김 총괄은 “아카사에서 심장 질환을 빠르게 진단하기 위해 미국 클리브랜드의 한 클리닉 의료진들과 주기적으로 접촉하는 과정에서 의료진이 작성하는 기록들에 시간을 많이 써야 한다는 애로사항을 발견했다”며 “반복되는 문항들의 입력을 자동화하는 기능을 내놓으며 워크플로우를 혁신적으로 바꾸고 사람의 실수로 벌어질 수 있는 오류를 줄일 수 있었다”고 언급했다. 이어 생성형 AI 역시 어떤 일의 단계를 밟을 때 문제를 설명하고 아이디어를 주면 AI가 개입해 단계와 단계 사이에 목표에 이르는 옵션을 다양하게 줄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총괄은 “앞으로 한국 대기업 계열사 전문가들과 협업해 현장에서 발휘할 수 있는 AI 임팩트를 가져오는 게 목표”라고 전했다. 글·사진(실리콘밸리)=정혜진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