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10%면 뭐해 돈이 없는데…청년적금에 무슨 일?

최고 연 10% 안팎의 금리 효과를 내는 '청년희망적금'이 지난해 2월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기업·부산·대구·광주·전북·제주은행에서 5부제 가입 방식으로 출시됐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한 은행과 모바일 앱. 연합뉴스

연 최고 10%대 금리 효과로 출시 당시 일부 은행 애플리케이션(앱)이 마비될 정도로 인기를 끌었던 ‘청년희망적금’이 중도 해지자가 7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층 경제 형편이 악화에 따른 것으로 가입자 4명 중 1명 꼴로 적금을 깼다.


21일 금융감독원이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에 제출한 '청년희망적금 운영 현황'에 따르면 해당 상품이 출시된 지난해 2월 당시 최초 가입자는 289만5546명이었으나 지난달 말 기준 중도 해지자 수는 68만4878명으로 집계됐다. 중도해지율은 23.7%다.


청년희망적금은 문재인 정부 당시 연간 총급여 3600만원 이하인 만 19~34세 청년의 자산형성을 위해 출범한 정책금융 상품이다. 만기 2년 동안 매달 최대 50만원 한도로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까지 총 연 10%의 금리 효과를 누리도록 설계됐다.


특히 10만원 미만 납입자의 중도 해지율이 49.2%로 가장 높았다. 납입 금액대별 해지 현황을 살펴보면 '10만원 이상~20만원 미만' 48.1%, '20만원 이상~30만원 미만' 43.9%, '30만원 이상~40만원 미만' 40.3% 등이 뒤를 이었다. 납입 한도인 50만원씩 부은 청년들의 경우 중도 해지율이 14.8%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형편이 더 나은 청년일수록 납입 여력을 계속 유지한 것으로 풀이된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나이가 많을수록 중도 해지율이 낮은 편이었다. 가입 상한 연령인 만 34세의 중도해지율은 21.2%인데 반해 가입 하한 연령인 만 19세의 해지율은 27.9%에 달했다.




매월 70만원씩 5년간 적금하면 최대 5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가 출시된 지난 15일 오전 서울 중구 T타워 내 청년도약계좌 비대면 상담센터에서 상담원들이 가입 상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처럼 중도 해지율이 상승한 이유로는 고물가와 고금리에 따른 청년층의 저축 여력 하락이 꼽힌다. 또 최대 36만원의 정부 지원금이 만기 때 한꺼번에 지급되는 탓에 이자를 체감하기 어려운 점도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당국은 최근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한 정책 목표로 출시된 '청년도약계좌'의 중도 해지 방지 방안을 구상 중이다. 매달 쌓이는 정부 지원금과 이자 수준을 은행 계좌나 앱을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산 시스템도 개발 중이다. '돈 쌓이는 재미'를 더 구체적으로 체감할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다.


청년도약계좌는 윤석열 대통령의 주요 대선 공약 중 하나로, 5년간 매달 70만원 한도로 적금하면 지원금(월 최대 2만4천원) 등을 더해 5천만원가량의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청년도약계좌 만기가 5년으로, 청년희망적금보다 3년가량 길지만 적금 유지율 목표는 70%대 중반으로 잡고 있다"며 "추가적인 적금 유지 방안을 위해 연구 용역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가입자가 급전 수요에 중도 해지하지 않도록 청년도약계좌와 연계한 적금담보부대출 운영, 햇살론 유스 대출 시 우대금리 지원방안 등을 내놓은 바 있다.


강민국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 문제를 반면교사 삼아 수시로 상품을 점검해 생활·주거 안정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의 실질적 중장기 자산 형성을 도울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