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환대출 인프라 3주간 2만건 몰려…"이자만 연간 100억원 이상 절감"

5월 31일 오후 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들의 ATM기와 카카오페이 대출 비교 서비스 '대출 갈아타기' 화면 모습. 사진 제공=연합뉴스

기존 신용대출을 더 낮은 금리의 대출로 갈아탈 수 있게 하는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 이용액이 5000억 원을 돌파했다. 금융 당국은 소비자들이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해 연간 약 100억 원 이상의 이자를 절감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21일 금융위원회는 이날 11시 10분 기준 총 5005억 원의 대출 자산이 이동했다고 밝혔다. 총 이용 건수는 1만 9778건에 달했다. 지난달 31일 대환대출 인프라가 개시된 이후 14.5영업일 만에 2만여 건의 대환 수요가 몰린 것이다.


대출 이동의 양상을 보면 은행 고객이 다른 은행으로 이동한 경우가 전체 건수의 82.5%, 전체 금액의 92.3%로 대부분이었다. 저축은행·여신전문금융회사 신용대출을 보유한 소비자가 이동한 비중도 인프라 개시 첫날인 5월 31일 0.8%에서 전날(20일) 16.2%로 늘었다.


금융위는 “이는 대환대출 시장 활성화에 따라 더 많은 금융회사가 경쟁에 참여한 결과”라며 “대출의 순유입이 발생한 금융회사 역시 개시 첫날 은행 3곳 여전사 3곳에서 이달 20일 은행 7곳, 저축은행 2곳, 여전사 1곳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금융회사들은 경쟁력 강화에 나선 모습이다. 금융위에 따르면 A은행은 대환대출 상품을 대상으로 0.5%포인트 우대금리 항목을 신설했다. 최근 금리인하요구권 안내를 강화한 B은행은 기존 대출고객 대상 우대금리 쿠폰을 제공할 예정이다.


기존 대출 비교 플랫폼사들에 이어 신한은행, 핀크 등도 대환대출 서비스 개시에 나섰다. 이에 따라 현재 소비자는 총 9개 대출 비교 플랫폼과 35개 금융회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대환대출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다만 금융위는 대환대출 인프라 사칭 광고에도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금융위는 “대환대출 인프라 홍보 효과에 편승해 저금리 대환대출 서비스를 사칭하는 불법광고 등이 증가하고 있다”며 “저금리로 갈아탈 수 있다는 안내와 함께 문자·전화를 통해 타인 계좌에 대한 입금, 특정 앱 설치 등을 요구하는 경우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