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은 아동의 구강건강 수준과 관리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2021~2022년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는 구강보건법 제9 조에 근거한 3년 주기 실태조사로 우리나라 아동의 구강보건정책 수립 및 사업 평가,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2000년 처음으로 조사를 실시한 이후 8번째 조사이며, 유치 건강상태를 대표하는 만5 세와 영구치 건강상태를 대표하는 만12 세 아동을 대상으로 치과의사가 각 기관을 방문해 구강검진과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2021년 조사가 이뤄져야 했지만 코로나19 유행으로 2022년 조사가 진행됐다.
최근 10년간 아동의 구강건강 수준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 중 우식(충치) 유병자율은 감소추세이나 우식 경험자율과 우식경험지수는 큰 변화가 없었다.
2021~2022년 조사 결과 만5 세 아동의 유치우식 경험자율(현재 충치를 가지고 있거나 치료한 경험이 있음)은 66.4%로 2018년 대비 2.1%포인트 감소했다. 유치우식 유병자율은 30.2%로 3.7%포인트 줄었고, 우식경험유치지수(1인 평균 우식경험 치아 수)는 3.41개로 차이가 없었다.
만12 세 영구치우식 경험자율은 58.4%로 2018년 대비 2.0%포인트 증가했다.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1.94개로 0.1개 늘었고, 영구치우식 유병자율은 6.9%로 차이가 없었다.
영구치우식 유병자율은 경제상태(상, 중, 하)와 거주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여 경제상태 하 그룹이 상 그룹의 두 배 정도(상 5.6%, 하 12.4%) 됐다. 지역별로 시지역에 비해 군지역(시 6.7%, 군 10.1%)이 높았다.
10년간 만12 세 아동의 치면열구전색(치아홈메우기) 영구치보유자율은 2009년 건강보험 치면열구전색 급여화 및 2017년 본인부담금 인하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1~2022년 조사결과 치면열구전색 영구치보유자율은 66.1%로 2018년에 비해 6.1% 증가했고 치면열구전색 영구치 수는 2.36개로 2018년과 차이가 없었다.
치면열구전색 영구치보유자율은 경제상태 하 그룹이 상 그룹(상 67.8%, 하 61.4%)에 비해 낮았고, 지역별로는 시지역보다 군지역(시 66.5%, 군 60.7%)이 낮았다.
최근 10년간 만12 세 아동의 치과진료 수진율은 증가, 치과진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함에도 진료를 받지 못한 미충족 치과치료필요율은 감소 경향이었다.
이번 조사 결과 최근 1년간 치과진료 수진율은 61.0%로 2018년 대비 10%포인트 감소했고, 미충족 치과치료필요율은 17.7%로 2.7%포인트 증가했다.
경제상태 하 그룹이 상 그룹에 비해 최근 1년간 치과진료 수진율(상 65.2%, 하 52.4%)이 10%포인트 이상 낮았고, 미충족 치과치료필요율(상 15.3%, 하 29.3%)은 약 2배 정도 됐다. 지역별로는 군지역이 시지역보다 최근 1년간 치과진료 수진율(시 61.5%, 군 54.5%)이 낮았다.
10년간 만12 세 아동의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은 증가, 우식성 간식섭취율은 2012년 이후 소폭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21~2022년 조사결과 만12 세 아동의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은 15.2%로 2018년에 비해 18.1%포인트 감소했다. 우식성 간식 섭취율은 54.9%로 큰 차이가 없었다.
경제상태 하 그룹이 상 그룹에 비해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상 16.7%, 하 13.7%)은 3%포인트 정도 낮았으며 우식성 간식 섭취율(상 54.0%, 하 59.4%)은 5.4%포인트 높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코로나19 유행에서도 우식 경험 및 유병, 우식경험지수 등 구강건강 수준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치과진료 수진, 칫솔질 실천 등 구강건강관리 행태는 악화됐다”며 “구강건강관리 행태는 치아 우식 등 구강건강에 단기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으나, 향후 아동의 구강건강에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구강건강 수준 변화와 관련 요인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평생 건강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아동 및 부모님 대상으로 우식(충치) 발생 예방을 위한 구강건강관리행태(주기적 검진, 올바른 구강관리 등) 및 식습관(우식성 간식 및 음료 섭취 관리 등) 개선 등 맞춤형 교육·홍보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책임자인 마득상 교수(전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회장)는 “2010년 이후 우식경험 지표가 큰 폭으로 개선되지 못하고, 경제 수준·지역간 격차 등 건강불평등이 여전히 존재하므로 영유아 시기부터 치아우식의 위험요인 관리를 위한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통계집은 2023년 7월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에 원시자료와 함께 공개하고, 구강건강정책 수립 근거로 활용될 수 있도록 심층분석을 실시해 국민건강통계플러스를 통해 발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