銀 '예금 토큰', 유동성 늘리고 시세조종 막아…"열린 규제로 혁신 지원"

■'금융산업의 가상자산 혁신' 세미나
한국경영정보학회·본지·디센터 주최
은행 발행 '디지털 수표' 웹3 가교 역할
ST로 非금융 진출 물꼬, 산업 결합 촉진
한은, CBDC는 '신뢰'…타국 연계 연구
김한규 "시장 이해도 높은 법안 필요"
윤창현 "금융 격변, 새로운 전환 모색"

손동영(앞줄 왼쪽 두 번째부터) 서울경제신문 대표이사 사장과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종원 한국경영정보학회장 등 참석자들이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금융산업의 패러다임 전환과 가상자산 혁신' 세미나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권욱 기자


은행이 예금 기반의 ‘토큰’을 발행하면 웹3 경제 내 유동성을 늘리고 시세조종도 막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정부의 토큰증권(ST) 허용을 계기로 대기업과 플랫폼 회사 등 비(非)금융회사가 자금 조달·투자 시장에 전격 진입하면서 산업 간 교류가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경영정보학회 디지털자산연구회와 서울경제신문, 디센터,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개최한 ‘금융산업의 패러다임 전환과 가상자산 혁신’ 세미나에는 은행과 증권 등 전통 금융업계 관계자와 가상자산 전문가들이 참석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기관의 가상자산 투자 허용을 대비한 수탁업에 초점을 맞춰온 은행권은 예금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수표 개념의 ‘예금 토큰(deposit tokens)’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김병희 신한은행 디지털전략부 부부장은 “블록체인 기반인 ST나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를 일일이 법정화폐로 교환하면 번거롭고 거래 비용도 늘 것”이라며 “환금성이 보장된 예금토큰을 활용하면 유동성 공급을 촉진하고 거래량 부족에서 비롯되는 시세조종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증권업계는 자본 조달 문턱을 낮추고 투자 대상을 다양화할 수 있는 ST가 금융과 비금융 간 경계를 허물며 다양한 사업 모델 출현을 촉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류지해 미래에셋증권 디지털자산TF 이사는 “일반 기업도 라이선스만 받으면 ST에 뛰어들 수 있어 이종 산업 간 시너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미 일본에서는 리조트에 투자하는 ST를 발행한 뒤 보유자에 숙박권을 제공하는 형태로 금융과 레저업이 결합한 사례가 등장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음원 관련 ST를 발행해 보유자에게 굿즈 판매 같은 e커머스를 연결하는 방안을 타진 중이다.


전통 금융이 블록체인과 결합한 대표적인 사례로 CBDC도 빼놓을 수 없다. 김동섭 한국은행 디지털화폐기획팀장은 “한은은 지난해 하반기 금융기관과 연계해 CBDC 실험을 진행했고 지난달에는 삼성전자와 양방향 통신이 단절된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오프라인 CBDC를 구현했다”고 전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한규 의원은 “가상자산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이지만 상당히 많은 투자자가 있는 것도 현실”이라며 “입법부가 미래를 정확히 예측해 준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은 축사를 통해 “금융시장이 급변해 다양한 규제와 입법과제가 나오고 있는 만큼 새로운 전환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