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심한 고령화에…취업자 평균연령, 47세→2050년 54세로

대한상의 SGI, 취업자 고령화 현황 보고서
2050년엔 OECD 평균보다 10세 높아져
고위기술 산업 인력난 심화 우려
저출산 대책, 고령층 생산성 제고 등 대책 필요

한 시민이 지난달 19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게시된 일자리 정보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저출산·고령화 심화로 2050년 국내 취업자 평균 연령이 약 54세까지 높아질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고령자들 중심으로 인력이 재편되면서 기업들의 고위기술 인력난이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20일 ‘부문별 취업자의 연령분포 및 고령화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취업자의 평균 연령은 약 46.8세다. 이어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의 성별·연령별 고용률이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 취업자 평균 연령을 추산했다. 그 결과 한국 취업자의 평균 연령은 2030년에 50세를 넘어서고 2050년 53.7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의 2050년 취업자 평균연령 예상치(43.8세)보다 무려 9.9세나 높은 수준이다.


특히 최근 고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빠르게 높아지고 출산율 부진 현상이 예상보다 심화하는 만큼 취업자의 고령화 속도가 예측치보다 더 빠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대한상의 SGI는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하고 기술변화 속도가 빠른 업종에서 젊고 양질의 노동력 공급이 줄어들게 된다면 국가 전체의 생산성 향상에 커다란 지장이 초래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고령자들은 특히 저위기술 산업, 저부가가치·노동집약적 산업에 집중돼 있어 고위기술 산업의 인력난이 심화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보고서가 전체 취업자 중 50세 이상 비중을 계산한 결과 의류(59.8%), 가죽신발(59.6%), 목재(57.3%), 섬유(52.6%) 등의 저위기술 산업에서 취업자의 절반 이상이 50세를 넘었다. 반면 의약(15.7%), 전자·컴퓨터·통신기기(18.2%) 등의 제조업, 정보통신(16.8%), 전문과학기술(23.8%) 등 서비스업 부문에서는 고령층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대한상의 SGI의 김천구 연구위원은 “기업 입장에서는 고위기술직에서 초기 투자비용을 충분히 회수할 정도로 고용기간이 남아 있는 젊은 인력을 선호한다”며 “앞으로 20~30대 인구가 급감하는 인력공급 환경에서 고위기술 제조업에 속한 기업들이 구인난을 겪을 가능성 있다”고 지적했다.


대한상의 SGI는 이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저출산 대책 효율화, 고령층 생산성 제고, 임금체계 개편, 인력수급 개선 등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외국인 전문인력 유입, 지역 특화된 미래전략 산업 유치 필요성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박양수 대한상의 SGI 원장은 “국내 경제의 구조적 문제인 저출산·고령화, 주력산업 경쟁력 저하, 지역소멸 등을 해결하기 위해 통합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