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걸릴 건축허가 10개월 만에' 현대차 울산 전기차공장 허가 완료

울산시 전담공무원 현장파견 행정업무 지원
부지 55만㎡, 건축연면적 33만㎡…9월 본격착공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가운데 부분 주행시험장에 전기차 신공장이 들어선다. 사진제공=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의 전기자동차 신공장 건축허가가 완료됐다. 이 사업은 울산시가 인·허가 행정지원을 위해 파격적으로 전담공무원을 전국 최초로 기업에 파견해 사업계획 수립 단계부터 행정지원 및 허가업무 지원을 한 것으로 주목을 받았었다.


울산시는 북구 명촌동 일원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내 주행시험장 부지 55만㎡에 건축연면적 33만㎡ 규모의 전기차 신공장 건축허가를 지난 7월 19일자로 완료했다고 24일 밝혔다.


이에 따라 현대자동차는 안전작업계획 착공신고를 거쳐 오는 9월 신공장 건축공사에 들어가 2024년 말 준공 후 시험가동을 거쳐 2025년 말 본격 전기차 생산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현대자동차는 앞서 지난 2022년 7월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선점을 위해 2조 3000억 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내용으로 하는 전기차 신공장 건설계획을 발표했다. 현대차 전기차 신공장 건설사업은 개발이 완료된 노후 국가산업단지에 대규모 재투자하는 사실상 국내 첫 사례였다.


과거 환경과 교통, 재해영향평가, 문화재 조사 등 관련법 시행 전 준공돼 재개발 시 관련 규정을 모두 소급 적용해야만 하는 등 기존 공장 내 재건축임에도 신규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수준으로 인·허가 난이도가 높아 사업추진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됐다. 특히, 생산 활동에 지장이 없는 기존 시설 철거·이설 및 대체 시설 건축, 진입도로 개설, 국·공유지 점·사용 협의 등 복잡한 공정계획 수행을 위한 다양한 난제가 많아 통상 3년 정도 소요되는 허가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것만이 사업 성패의 관건이었다.


이에 울산시는 현대차의 대규모 투자사업이 복잡한 인·허가 변수에 시행착오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2022년 9월 7일부터 전담공무원을 현장에 파견했다. 행정지원 결과 공장부지 조성, 완성차 보관 대체 주차타워 5000대 건축, 신공장 건축허가까지 모든 업무를 약 10개월 만에 원스톱 서비스 방식으로 처리했다.


이는 통산 허가완료까지 3년 정도 소요되는 행정절차를 획기적으로 단축한 것으로 울산시의 전담공무원 파견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현대차는 목표를 이르면 15개월로 잡았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기업의 대규모 투자사업 지원을 위해 전국 최초로 전담 공무원까지 파견해 행정지원한 첫 사례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돼 보람을 느낀다”면서 “앞으로도 지역내 투자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행정지원을 정책적으로 ‘기업하기 좋은 도시, 투자하기 좋은 도시’ 울산의 이미지를 더욱 확고히 다져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