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당료 불러오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새 치료 타깃 찾아냈다”

오창명 지스트 생명공학과 연구팀 제시
특정 단백질 억제해 개선하는 방법 찾아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을 발견하고, 이를 억제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시한 오창명(왼쪽) 지스트 의생명공학과 교수와 이지범 석사졸업생. 사진 제공=광주과학기술원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을 발견하고, 이를 억제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시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광주과학기술원(지스트)은 지스트 생명공학과 오창명 교수 연구팀이 제시한 이 치료 방법은 ‘림프구 항원 6D(LY6D)’라는 단백질을 억제하면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과 치료가 가능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이 단백질이 간의 지방 대사 조절과 염증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높은 당을 함유한 사료를 섭취한 쥐에게서 이 단백질이 증가하고, 이 단백질이 높게 발현된 경우 심각한 지방 축적이 야기되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유전자형질-조직 발현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간에서 이 단백질이 높게 발현된 사람은 지방간 질환의 조직학적인 변화가 더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이 이 단백질의 유전자를 100배 이상 높게 발현시키자 고지방 섭취나 지방 대사와 관련된 유전자가 대조군 대비 더 많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는 쥐에게서 이 단백질을 억제하자 증상이 호전됐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비만, 당뇨와 함께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대사 질환이지만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개발되지 않아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오창명 지스트 생명공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를 통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새 치료 타을 찾아냈다”며 “이 단백질을 억제해서 간 내 지방 대사 조절과 염증 억제를 유도하면 새로운 치료 가능성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