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줄 끊긴 '국산 1호 mRNA 백신'…해외에 팔릴판

■정부 임상지원 없어…아이진 '이지코비드' 투자유치 추진
글로벌3상 자금부족에 수혈 나서
해외 기업들과 기술수출 등 협의

아이진의 mRNA 코로나19 백신 ‘이지코비드(EG-COVID)’. 사진 제공=아이진




국내에서 개발 속도가 가장 빠른 메신저리보핵산(mRNA) 코로나19 백신이 상용화를 위한 임상 3상 비용 부족으로 결국 해외에 팔릴 상황이다.


글로벌 백신 주권 확보는 물론 차세대 신약 플랫폼으로 각광받는 mRNA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의 정책자금 지원과 함께 개발이 시작됐지만 후속 지원이 따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중국에 이어 한국보다 늦게 mRNA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착수했던 일본까지 제품 개발을 완료한 가운데 바이오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일관된 지원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산 코로나19 백신 ‘이지코비드(EG-COVID)’를 개발 중인 코스닥 상장사 아이진(185490)은 다음 달 호주에서 임상 2a상을 마치는 대로 3상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공동임상 연구 계약 또는 기술이전(라이선스 아웃)을 추진하고 있다. 아이진은 소액의 정책자금 외에 호주에서 진행 중인 임상 2a상에 자체 자금을 200억 원가량 투입했다. 하지만 1000억 원 이상이 투자돼야 하는 임상 3상은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없어 결국 외부 투자 유치가 불가피해졌다.


아이진 관계자는 “임상 2a상 결과를 기반으로 공동 임상이나 기술이전 등의 형태로 임상에 필요한 자금을 투자 받기 위해 국내외 기업을 물색하고 있다”며 “아직 국내 기업은 없고 몇몇 해외 기업이 먼저 제의해와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대로 해외 기업과의 계약이 성사되면 첫 국산 mRNA 코로나19 백신이자 mRNA 신약의 권한 일부 또는 상당 부분이 해외로 넘어가게 되는 셈이다.


현재 mRNA 백신 정책자금 지원은 사실상 단절된 상태다. 정부의 K바이오 백신펀드 조성도 수개월째 지연되고 있다. 미국은 정부 주도로 41조 원을 투입해 화이자·모더나가 신속하게 mRNA 백신 개발을 완료하고 플랫폼을 활용해 벌써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백신 상용화와 혼합백신 임상에 착수했다. 중국은 올해 3월 mRNA 백신 개발을 완료했다. 아이진보다 반 년 이상 늦게 개발을 시작한 일본 다이이찌산쿄도 이달 2일 코로나19 mRNA 백신 ‘다이치로나’를 후생노동성에서 승인받았다.


아이진 관계자는 “국가신약개발재단의 코로나19 백신 개발 지원은 지난해 조기 종료됐고 mRNA백신사업단은 초기 물질 중심으로 소규모 지원을 하고 있다”며 “K바이오백신펀드가 조성되면 국가전략기술로 지정된 백신 상용화에 대규모 자금이 투입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장기간 답보 상태”라고 답답해 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