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좋은데 가격 또 올려?” vs “환경 규제 대응 위해 불가피”

시멘트 값 추가 인상 예정인데
한일·성신 등 주요 업체 실적 ↑
"돈 많이 벌었는데 또 인상?”
"실적은 기저효과에 불과"
환경 규제로 막대한 자금 투입

지난 16일 서울의 한 시멘트 공장에 레미콘 차량이 분주하게 움직이는 모습. 연합뉴스


최근 시멘트 값 인상을 두고 관련 업계 간 ‘기 싸움’이 팽팽한 가운데 다수의 주요 시멘트 업체들이 올 상반기 ‘실적 턴어라운드’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화물연대 파업 등으로 지연된 시멘트 출하가 올 상반기 몰린 데다 지난해 단행한 두 차례의 가격 인상 효과를 크게 누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일각에서는 시멘트 업체들이 추진하는 추가 가격 인상 움직임에 설득력이 다소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하지만 시멘트 업계는 기저효과가 큰 이번 실적만으로 모든 것을 평가할 수 없다고 반박하고 있다. 또 환경 규제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강조하는 분위기다.



자료=쌍용C&E

업계에 따르면 삼표시멘트(038500)는 올 상반기 399억 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전년 동기 대비 153.3% 급증한 수치다. 매출액도 4194억 원으로 27.3% 증가했다. 한일시멘트(300720)는 영업이익이 909억 원으로 1년 전보다 약 2배 증가했고 매출도 25.0% 늘었다. 성신양회(004980)의 영업이익은 286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72.6% 성장했다. 아세아시멘트(183190)도 628억 원의 영업이익을 올려 39.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자료=대한건설정책연구원


시멘트 업계의 호실적은 가격 인상 효과를 빼놓고는 설명하기 힘들다.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원부자재 가격이 급등하자 판매가를 두 차례에 걸쳐 인상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올해 상반기 예상보다 시멘트 출하가 늘어난 것도 실적 개선의 배경으로 꼽힌다.




다만 시멘트 업체 실적을 곱지 않게 보는 시각도 나타나는 분위기다. 누적된 원가 부담이 크다며 추가 가격 인상안을 꺼내 들었지만 막상 공개된 실적을 보니 이익 성장세가 예상을 크게 웃돌았기 때문이다. 이에 이번 인상안은 다소 명분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시멘트 업계에선 올 상반기 실적만으로 가격 인상안과 연결짓는 것은 성급한 논리라고 반박한다. 이번 실적의 경우 기저효과가 크다는 판단 때문이다. 악재가 쌓였던 지난해와 비교하면 실적 개선이 뚜렷해 보일 수 있지만 예년 이익 규모와 비교하면 아직 체력이 회복되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 6월 경기도 시멘트 유통기지 현장을 방문해 업계와 간담회 자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제공=국토부

특히 강화되는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가격 인상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시멘트 업체들은 환경부 방침에 따라 2027년까지 질소산화물 방지시설(SCR)을 설치해야 한다. SCR은 1기 설치에 200억~300억 원이 들어가며 유지 비용 또한 상당해 상황에 맞게 가격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한 시멘트 업계 관계자는 “환경규제에 대응하려면 막대한 비용이 필요한데 지금 현금 창출 능력으로는 감당하기 어렵다”면서 “개별 업체들이 미리 대응하지 못하고 적자를 본 뒤 후행적으로만 가격 인상이 허용된다는 것도 설득력이 떨어져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