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과 신협·수협 등 상호금융권에서 최근 5년간 120건이 넘는 횡령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누적 횡령 금액은 251억 원에 달했지만 회수 금액은 절반 수준에 그쳤다.
22일 금융감독원이 황운하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 7월까지 발생한 횡령 사고 건수는 총 121건으로 집계됐다. 횡령 금액으로 따지면 총 250억 6000만 원 규모다. 올해 들어서만 총 24건, 13억 원 규모의 횡령 사고가 발생했다.
금융사별로 보면 농협의 횡령 사고가 66건(167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신협과 수협에서는 각각 42건(33억 9000만 원), 13건(49억 7000만 원)의 횡령 사고가 발생했다. 산림조합에서는 조사 기간 횡령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 새마을금고는 행정안전부의 관리 감독을 받아 금감원 제출 자료에서는 빠졌다.
심지어 사고 금액 중 절반 가까이는 회수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총 횡령 금액 중 회수되지 못한 금액은 117억 원으로 미회수율이 46.7%에 달했다. 미회수율은 농협 52.2%, 수협 38.2%, 신협 31.9% 순으로 높았다.
최근 상호금융권뿐 아니라 다른 업권에서도 각종 비위가 연이어 터지면서 은행 내부 통제 시스템 부실 논란이 일고 있다. 이달 10일 대구은행 직원들이 이용자 동의 없이 계좌 1000여 개를 개설한 정황이 드러나는가 하면 전날에는 국민은행 직원들도 상장사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100억 원대 부당이득을 챙겼다가 금융 당국에 적발됐다. 앞서 경남은행에서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담당 직원이 2007년부터 약 15년간 562억 원을 횡령·유용한 혐의가 드러나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금융 당국은 상호금융업권 중앙회를 비롯한 주요 업권의 내부 통제 강화 조치 계획 이행 실적을 중점 점검할 계획이다. 황 의원은 “연체율 상승에 횡령 사고까지 더해져 금융권의 전반적인 신뢰가 훼손되고 있다”며 “당국이 고강도 대책을 마련해 상호금융권의 고질적인 횡령 사고를 끊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