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눈] 과기 국제협력 위한 인프라 투자

김윤수 IT부 기자


“한국의 구미시는 메타버스에 대한 책임감과 노하우가 있습니다. 우리가 협력을 결정한 이유죠.”


이달 14일(현지 시간)부터 18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한국·유럽 과학기술학술대회(EKC 2023)’가 열렸다. 15일 개막식에서 기조연설을 한 알렉산더 미하엘리스 프라운호퍼 세라믹기술및시스템연구소(IKTS) 소장은 “한국은 가장 중요한 해외 협력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연설을 마친 그를 뒤따라가 우리나라와 협력을 강화하는 이유와 구체적인 방안을 물었다. 미하엘리스 소장은 경북 구미시와의 협력 사례로 답변을 대신했다.


지난해 구미시는 유럽 최대 응용기술 연구기관 연합체인 ‘프라운호퍼연구협회’ 산하 프라운호퍼 IKTS와 메타버스 관련 업무협약을 맺었다. 과거 제조업 산업단지를 신기술 기반으로 체질을 전환해 확장현실(XR) 디바이스 개발지원센터를 포함한 동북권 메타버스 허브센터라는 인프라 구축에 노력한 결과다. 뮌헨에 모인 국내외 한인 과학자들은 “과학기술 인프라는 국제 공동 연구의 훌륭한 교두보”라고 입을 모았다. 한국이 선진국들과 나란히 7개국 공동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프로젝트에 합류할 수 있었던 것도 일찍이 KSTAR(핵융합실험장치) 개발을 시작하는 등 과학기술 인프라에 투자한 덕분이다.


“연구개발(R&D) 카르텔을 타파하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고심 끝에 최근 마련한 ‘국가R&D 혁신방안’은 “국내에 갇힌 R&D를 해외 협업 구조로 개편해 0.4% 비중에 불과한 국제 공동 연구를 활성화한다”는 내용을 가장 전면에 내세웠다. 예산 삭감에 대한 연구 현장의 반발을 무릅쓰고 추진하는 만큼 정부 구상을 성공적으로 실현할 구체적 계획이 추가로 마련돼야 한다.


정부는 법을 고쳐서라도 해외 연구기관의 국가 R&D 직접 참여를 허용하겠다는 방침이지만 그들의 자발적 참여 유도 방법을 묻는 질문에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한국에서 얻을 게 있다면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원론적인 수준의 답변을 했다. 아직 정부 구상에 채울 부분이 많아 보인다. ‘구미·프라운호퍼’와 ‘KSTAR·ITER’ 같은 인프라 기반 협력 모델을 확산하는 게 우선적인 해법이 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