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커지는 세수 펑크…제조업 경쟁력 강화가 근본 대책이다

기업 수익 악화와 경기 부진이 겹쳐 ‘세수 펑크’가 커지고 있다. 최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국세 수입 현황’을 보면 올해 7월까지 누적 국세 수입은 217조 6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조 4000억 원 줄었다. 남은 기간 지난해 수준으로 세금을 걷어도 올해 세수는 세입예산 400조 5000억 원 대비 48조 원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세수 펑크 규모가 50조 원을 넘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정부가 3일 세수 결손분을 충당하기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의 기금 자금 투입 방안을 꺼내 든 것은 건전 재정을 위한 고육책으로 볼 수 있다. 기재부는 외국환평형기금 20조 원을 공공자금관리기금으로 넘기고 이를 일반회계 재원으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세수 펑크를 메울 듯하다. 세부 방안은 다음 주까지 세수 부족분을 재추계해 발표된다. 계획대로라면 10조 원대의 불용 예산, 3조~5조 원대의 세계잉여금에 20조 원 안팎의 공자기금 재원을 더해 35조 원 내외를 조달해 세수 펑크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외평기금 여유분을 공자기금에 넣어 세수 결손분을 충당하는 방안은 빚을 내지 않고 세수 부족을 메울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그러나 세수 펑크는 경기 침체와 재정 정책의 실패에 기인한 것으로 외평기금 활용은 임시방편일 수밖에 없는 데다 환율 안정성을 희생시킨다는 지적을 받을 수 있다.


정부는 유례없는 규모의 세수 결손이 제조업의 침체와 맞물려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 올해 7월까지 법인세 수입이 48조 500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1%나 줄어든 것은 제조업의 위기를 보여준다. 특히 올해 7월 우리나라의 대(對)중국 수출액은 9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5.1% 감소했다. 설상가상으로 부동산발(發) ‘차이나 리스크’에 대한 경고음이 커지는데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3일 방송에 출연해 “우리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의 안이한 낙관론은 위기를 되레 더 키울 수 있다. 이날 현대경제연구원은 ‘L자형 장기 침체’를 경고했다. 더 늦기 전에 기업 활동을 옥죄는 ‘모래주머니’ 규제 철폐와 세제·금융 등 전방위 지원으로 제조업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 꺼져가는 성장 동력을 재점화하지 못하면 세수 펑크를 막기 어렵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