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3에 눈뜬 홍콩…정부 주도로 '아시아 허브' 노린다[블록체인NOW]

■'홍콩의 실리콘밸리' 사이버포트는 지금
재무부 산하에 '웹3 TF' 설립 등
관리조직 구축·제도개선 속도
시장 규제 집중한 한국과 달라
가상자산서 NFT·메타버스까지
1년새 20개국 170개 기업 유치

홍콩섬 남쪽에 위치한 사이버포트에는 웹3 기업들이 대거 입주해 있다. 사진=최재헌 기자

저녁 무렵 홍콩의 실리콘밸리라고 불리는 ‘사이버포트’가 퇴근 차량으로 북적였다. 수많은 기업이 입주해 4개 동까지 확장한 사이버포트는 규모가 워낙 커 길조차 찾기 어려울 정도다. 사이버포트에서 마주친 이들은 옷차림과 표정이 자유분방하면서도 활기가 넘쳤다. ‘웹3의 허브’로 도약하겠다는 홍콩의 포부가 빠르게 구체화되고 있었다.


◇라이선스 발급에 기업 150곳 몰려=서울경제 디센터는 ‘가상자산 발전을 위한 정책 성명 발표’로부터 약 10개월 후인 지난달 16일 홍콩을 방문했다. 겨우 10개월이 지났을 뿐이지만 홍콩은 이미 웹3 기업들이 몰려드는 허브로 거듭나는 중이다. 올해 6월 홍콩 정부가 개인투자자의 가상자산 거래를 위해 가상자산사업자 라이선스 발급을 시작한 후 8월 중순까지 150개가 넘는 기업이 줄을 섰다. 이 중 가상자산거래소 해시키와 OSL 두 곳이 발급 절차를 마친 상태다.


홍콩 남구 폭푸람 지역에 위치한 사이버포트에도 지난 1년 동안 170개 이상의 웹3 기업들이 입주했다. 홍콩 재무부 관계자는 “20개 이상의 국가에서 대체불가토큰(NFT)과 메타버스,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 등 사업 규모를 불문하고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사이버포트에 모였다”고 설명했다. 재무부 산하의 투자 유치 부서 ‘인베스트홍콩’은 홍콩 시장에 관심이 있는 웹3 회사들을 끌어모으고 있다. 이날 사이버포트에서 만난 얏 시우 애니모카브랜즈 회장은 “홍콩 정부가 웹3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신호를 주면서 외국 자본이 많이 유치됐다”고 덧붙였다.



홍콩 빅토리아피크 전망대에서 바라본 센트럴 전경. 센트럴은 전 세계 금융 기업이 모인 곳이지만 최근 수년 사이 부쩍 블록체인 기업가들도 자주 만나볼 수 있게 됐다. 사진=최재헌 기자

◇재무부 산하 웹3 전담 부서로 소통=라이선스 발급과 함께 시장의 관리·감독을 위한 조직 및 제도도 빠르게 구축되고 있다. 올해 5월 말에는 민간 가상자산 평가 기구인 홍콩가상자산컨소시엄(HKVAC)이 출범했다. 알버트 로 HKVAC 공동설립자는 “업계 육성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없었다면 평가 사업은 시작도 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공정한 평가는 금융 당국과 꾸준히 소통하고 관리·감독을 받는 것이 핵심”이라고 밝혔다. HKVAC는 현재 거래소 평가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연말까지 가상자산 평가 시스템을 구체화하고 이후 투자자를 위한 교육, 연구 보고서 발간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어 올 7월 홍콩 재무부 산하에 설립된 ‘웹3 개발 태스크포스(TF)’는 자문 기구를 넘어 구체적인 정책 모델까지 검토할 계획이다. TF에 참여 중인 시우 회장은 “매달 정부 당국과 업계 관계자가 만나 소통한다”며 “자문 기구로 시작했지만 추후 정책 측면에서 성과를 내는 조직으로 발전하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웹3 열풍은 일반 시민들까지 사로잡았다. 세바스티앵 보르제 더샌드박스 공동창업자는 “기업가를 포용하는 정책 덕분에 시민들도 가상자산 시장 또는 투자에 대해 우호적”이라고 덧붙였다.


◇CBDC·스테이블코인 선도국 거듭날까=금융 중심지라는 강점을 십분 활용해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와 스테이블코인 분야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홍콩 통화청 관계자는 “국경 간 결제에 사용될 도매 CBDC는 내년 출시를 목표로 현재 개발 중이며 소매 CBDC는 사용 사례를 분석해 올해 말 결과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통화청은 내년 시행이 목표인 스테이블코인 규제와 관련, 올 3분기 중으로 업계 관계자들과 정식 간담회도 가질 예정이다. 앞서 일본이 세계 최초로 스테이블코인 법안을 마련한 데 이어 홍콩이 두 번째가 될 가능성도 있다.


업계에서는 기업 유치에 방점을 찍은 홍콩 정부가 다른 나라들을 제치고 아시아의 선두 주자로 거듭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라우라 시 컨센시스 아시아담당은 “한국은 투자자 보호를 위한 규제에 집중하고 있지만 홍콩은 외국 기업과 자본 유입을 원한다”며 “과도한 규제로 갈 곳을 잃은 기업들이 결국 홍콩으로 몰리게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보르제 공동창업자도 “한국은 가상자산이 정치적 논쟁에 휘말렸고 일본은 산업 진흥책에도 불구하고 법 제정 속도가 느린 편”이라며 “반면 홍콩은 기술과 혁신에 초점을 맞춰 산업을 육성한다는 강점이 있다”고 분석했다. 웹3 교육도 홍콩에서 본받을 점으로 꼽혔다. 그는 “홍콩에는 다른 아시아 국가와 달리 웹3 졸업 인증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학교가 많다”며 “고급 인력이 뒷받침해주면 산업의 질도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