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에 지하철·따릉이까지…월 6만5000원에 무제한으로 탄다

기후동행카드 내년 1월 시범운영
지하철 1~9호선에 경춘선·분당선 등도
단, 서울 외 지역 승차 및 신분당선 안되고
경기·인천 버스와 광역버스도 불가해
‘반쪽 무제한’이라는 지적도 나와

서울 시내 한 버스에서 시민이 카드로 요금을 결제하고 있다. /연합뉴스

내년부터 매달 6만5000원만 내면 서울시 버스와 지하철, 자전거(따릉이)까지 모든 대중교통수단을 무제한으로 탈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11일 ‘월 6만5000원’짜리 교통카드 하나로 서울 시내 지하철, 시내·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까지 원스톱 무제한 이용이 가능한 ‘기후동행카드’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기존에는 월 5만5000원으로 한 달에 60회까지 탈 수 있는 지하철 정기권만 있었다.


시는 내년 1월부터 5월까지 시범 판매한 뒤 하반기부터 본격 시행할 계획이다. 실물 카드는 최초 3000원에 카드를 구매한 뒤 매월 6만5000원을 충전해 쓰면 된다. 스마트폰 앱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서울 시내에서 승·하차하는 지하철 1~9호선을 비롯해 경의·중앙선, 분당선, 경춘선, 우이신설선, 신림선까지 모두 쓸 수 있다. 다만, 기본요금이 다른 신분당선은 제외된다. 특히 서울에서 승차해 경기·인천 등 다른 지역에서 하차하는 경우에는 이용할 수 있으나,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탈 때는 카드 이용이 불가능 하다.


버스의 경우에도 무제한 탑승이 되는 서울 시내버스와 마을버스와는 달리 경기·인천 등 타 지역 버스나 기본 요금이 상이한 광역버스는 서울 지역 내라도 이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반쪽짜리 무제한’이라는 비판과 함께 시민들이 혼선을 겪을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 서울과 타 지역 버스를 구분하는 기준은 ‘노선 면허’를 얻은 지역을 중심으로 하며, 각 버스 노선번호를 검색하면 해당하는 면허 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1시간 이용권’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으며, 시는 향후 리버버스 등 새롭게 추가되는 차세대 친환경 교통수단까지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서울시가 이처럼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 이용권을 도입하는 것은 가계 부담을 덜어주고, 기후위기에 대응하겠다는 취지에서다. 서울시는 지난달부터 버스 요금을 1200원에서 1500원으로 300원 인상했고, 지하철도 다음 달 7부터 1250원에서 1400원으로 요금이 오른다.


시는 연간 1만3000대 승용차 이용이 감소해 연 3만2000톤의 온실가스가 감축되고, 50만명의 시민이 1인당 연간 34만원 이상의 할인 혜택을 받을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시는 종사자 100인 이상 기업에서 ‘기후동행카드’를 구매해 임직원에게 나눠주면 교통유발부담금 감면 등 추가 혜택을 주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세계 여러 국가들도 무제한 교통카드 도입 등을 통해 대중교통 이용을 높이는데 집중하고 있다. 독일은 올해 5월부터 월 49유로 ‘도이칠란드 티켓(D-Ticket)’을 본격 도입해 3달 만에 1,100만 장을 판매했다. 프랑스 파리도 월 72.9유로 정기권, 오스트리아는 연 1,095유로 ‘기후 티켓’을 내놨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친환경 버스 교체, 공공자전거 확대, 전기택시 보급 등 수송 분야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하드웨어를 교체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교통 분야 기후위기 대응은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가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