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에 글로벌기업, 이자 부담만 166조원

닛케이 글로벌기업 7000여곳 분석
리먼 08년말比 유이자부채잔액 두배↑
낮은 금리에 자금 조달 늘리던 기업들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이자 부담 커져
2Q 디폴트 건수 전년 동기 比 50%↑
전문가 "좀비기업 재무악화 확산 우려"


세계 각국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으로 기업들의 이자 부담이 분기 기준 역대 최고인 166조 원 수준까지 불어나고, 이에 따른 디폴트(채무불이행) 리스크도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금융업을 제외한 글로벌 기업 7689곳의 재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 2분기(4~6월) 기업들의 유(有)이자부채 잔액은 총 12조 7581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리먼 브라더스 사태로 금융위기가 발발한 직후인 2008년 4분기(10~12월) 집계액(6조 6000억 달러)보다 92% 증가한 규모다.


유이자부채는 차입금이나 사채 등 이자를 지급해야 하는 채무다. 상환해야 하지만, 이자가 발생하지 않는 매입채무(외상 매입금), 미지급금, 예수금 등을 의미하는 무이자부채와 구분된다. 유이자부채가 많을수록 금리 상승 시 금융(이자) 비용이 늘어난다. 분석 대상 기업들의 올 2분기 이자 지불액은 총 1250억 달러, 한화로 약 165조 7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늘었다. 최근 5개 분기 연속 두자릿수 증가세다.


이처럼 기업들의 채무 부담이 가중된 요인으로는 금융 위기 이후 오랜 시간 이어졌던 저금리를 꼽았다. 2008년 9월 리먼 쇼크로 금융 위기가 전 세계로 확산하자 미국이 같은 해 12월 정책 금리를 0% 가까이 낮춰 사실상 제로 금리 정책을 펼쳤다. 미국을 시작으로 저금리 환경이 계속된 가운데 2020년 코로나 19로 경제 활동이 위축되자 기업들이 리스크 대비를 위해 자금 조달을 서둘렀고, 부채도 늘었다.




위기는 지난해 각국 중앙은행들이 긴축으로 방향을 틀어 금리를 올리면서 심화했다. 금리가 상승해 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은 물론, 내야 할 이자 비용이 불어난 탓이다. 기우치 다카히데 노무라종합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의 채무가 역사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경제의 약점이 가계가 아닌 기업으로 점차 옮겨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비용 부담에 기업의 디폴트 위험도 커졌다. 국제신용평가기관 무디스에 따르면 올 2분기 전 세계 디폴트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한 48건으로 분기 기준 최근 3년래 가장 많았다. 실제로 올 7월 미국의 유리 용기 제조사인 앵커 글라스 컨테이너와 브라질 아주르 항공이 채무불이행 상태가 됐다. 미국 통신업체 버라이즌과 세계 최대 크루즈 선박사인 카니발, 일본 소재회사 레조낙 등은 잉여자금을 부채 감소에 충당해 위기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채무·이자 부담에 기업 디폴트가 더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닛케이는 S&P 신용 등급 (평가) 대상 기업들이 오는 2024~2026년 갚아야 할 자금이 총 7조 3000억 달러에 달하는데, 이 중 24%가 저신용평가 기업의 채무라고 밝혔다. 무디스는 ‘최악의 시나리오’로 내년 중반 디폴트율이 10~15%까지 치솟을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타무라 토시오 히토츠바시대 교수도 “저금리 덕에 적은 이익으로도 이자 지급을 감당해 온 ‘숨은 좀비 기업’의 재무 악화가 현실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업들의 채무 문제는 장기 침체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기우치 수석연구원은 :“기업 부문의 금리 감응도는 개인보다 낮다”며 “이 때문에 경기 감속은 리만 때보다 완만하게 진행돼 그 기간이 길어지기 쉽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에서 기업 채무가 문제가 된 1980년대는 ‘10년 침체’가 이어졌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