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회 세계지질공원 총회 참석차 지난 6일 모로코에 간 경상북도 환경정책과 김정훈 주무관(45·지질학 박사)은 지진이 발생한 지난 8일(현지 시간) 오후 11시 11분께 진앙지에서 75㎞가량 떨어진 마라케시 7층짜리 호텔 3층에 머물고 있었다.
지난 11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김 주무관은 "숙소에서 자려고 누워서 잠이 들려고 하는데 침대가 심하게 흔들리기 시작했다"며 "지진임을 직감했으나 위험할 거 같아 책상 밑에 들어갈 생각 자체를 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그는 "일단 이불을 댕겨서 머리를 보호하는데 밖에서는 이미 대피하거나 고함을 치는 소리가 들렸고 차량 경적도 울리고 있었다"며 "20초간 심한 진동 뒤 창문을 열려고 했는데, 혹시나 밖이 모두 무너져 폐허가 되지 않았을까 두려웠을 정도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2016년 9월 12일 규모 5.8의 경주 지진도 경북도청에서 근무하면서 체험했지만, 모로코 지진은 비교 자체가 힘든 강도였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모로코 내무부에 따르면 이번 강진으로 전날 오후 기준 총 2122명이 숨지고 2천421명이 다친 것으로 파악됐다. 부상자 중 1404명은 중상이다.
김 주무관은 "규모 6.8의 이번 모로코 지진은 수치상으로 10배 강력하지만, 비교 자체가 어려울 정도로 강력했다"며 "경주 지진 때는 책상에 앉아있었는데 약간 들썩들썩하는 느낌이 났다면, 이번에는 한 번도 느껴보지 못한 강도였을 정도로 진동이 강했다"고 설명했다.
지진 당시 총회 참석을 위해 모로코에 머물고 있었던 한국인은 80여명이다. 참석자 중 김 주무관과 같은 호텔 머문 인원은 3명이고, 다른 70여명은 주변 여러 호텔에 나눠 투숙 중이었다.
이들 중 제주도청 관계자들이 머문 인근 호텔은 지진 당시 건물이 파손되면서 방문이 열리지 않아 극심한 불안감에 떨어야 했다.
김 주무관이 건넨 호텔 사진을 보면 로비 벽면 외장재가 바닥에 쏟아져 있었고, 외부 기둥 곳곳에도 심한 균열이 생겼다.
그는 "제가 머문 호텔은 규모는 작지만 비교적 최근에 지어졌고 지하 2층까지 있어서 내진 설계가 있어서 그나마 충격이 덜했던 것 같다"며 "제주도 관계자들이 머문 호텔은 지어진 지 오래된 곳이라 피해가 컸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총회에 참석한 한국인 일행 중에는 지질학 전문가들이 많아서 상대적으로 빠르게 안정을 찾았다.
이들은 미국 지질조사국(USGS) 등 전문기관의 정보를 공유하면서 더 큰 지진이 발생하지는 않을 거라고 판단했고, 호텔에 머물다가 일정에 맞춰 차례대로 귀국하고 있다.
이들 중 10여명은 현지에서 헌혈에 동참하는 등 피해 복구에 힘을 보태기도 했다.
김 주무관은 "직접 보지는 못했으나 벽돌 건물이나 진흙으로 집을 지은 곳이 많은 마라케시 구도심이나 다른 지역의 경우 피해가 컸다고 들었다"며 "더는 피해 없이 모로코가 빨리 안정을 찾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날 오후 5시40분께 튀르키예항공 TK090편을 타고 인천공항에 도착한 공무원 A씨도 "다행히 큰 피해 없이 귀국하게 됐다"며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이 항공기에는 광주·전남 대표단 12명이 탑승했다.
A씨는 "밤 11시쯤 지진이 나 건물들이 많이 무너지면서 이재민들이 광장에 모여 노숙하더라"며 "(다른 지역 대표단은) 숙소가 무너져 노숙하기도 했다. 일정이 좀 더 길게 예정된 대표단은 비행기 표와 숙소를 구하기도 힘들다고 하더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