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방 동기들의 '3개국 공조' 마약 조직…"필로폰 62만 명분 밀반입"

헬스보충제 통 안에 든 필로폰. 서울경찰청 제공

캄보디아·중국·나이지리아에 거점을 두고 62만 명이 동시 투약할 수 있는 분량의 필로폰을 국내에 유통하려 한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10일 서울경찰청 마약범죄수사대에 따르면 김 모(49) 씨를 포함한 36명(구속 13명)은 지난해 11월부터 올 6월까지 해외 총책의 지시에 따라 들여온 필로폰 등을 국내에 유통한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향정 등)로 검거됐다.


이들 윗선에는 3개국에 거점을 둔 해외 총책이 있었다. 캄보디아 총책 송 모(52) 씨, 중국 총책 K(42·중국 국적) 씨, 나이지리아 총책 I(35·나이지리아 국적) 씨다.


김 씨는 송 씨의 지시를 받아 지난 3월 부산과 대전에서 두 차례에 걸쳐 대량의 필로폰을 손에 넣었다. 이후 헬스보충제로 위장해 밀반입한 필로폰을 국내 유통책이나 K 씨, I 씨의 유통책에 다시 전달하기도 했다.



3개국서 공모한 마약조직 적발…필로폰 623억어치 압수 조직도. 서울경찰청 제공

경찰은 올해 초 국가정보원으로부터 나이지리아 마약상이 국내에 필로폰을 유통한다는 정보를 입수해 수사에 착수했다. 이후 지난 4월 김 씨와 국내 유통책을 차례로 검거한 뒤 해외에 있는 송 씨, K 씨, I 씨의 신원을 파악했다.


경찰은 지난 7월 국정원과 함께 송 씨를 캄보디아 현지에서 검거했다. 외국인인 K 씨와 I 씨에 대해서는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국제형사경찰기구(ICPO·인터폴)에 요청해 적색수배를 내렸다. 송 씨와 K 씨, I 씨는 모두 국내에서 처벌받거나 추방된 전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송 씨는 지난 2016년 1월 필로폰 2.5㎏을 필리핀에서 국내로 밀수한 혐의로 4년 6개월간 복역한 후 지난해 7월 캄보디아로 출국한 바 있다. K 씨는 지난 4월 조직원을 통해 인천국제공항으로 필로폰 5㎏을 밀반입하려다 세관에 적발됐다. I 씨도 2021년 6월 향신료로 위장한 대마 6.3㎏을 가나에서 국내로 발송하는 등 여러건의 마약류 밀수·유통에 관여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은 교도소 동기, 캄보디아에 있는 또 다른 마약상 등을 통해 서로 협력하는 사이가 됐다. 모두 국내 사정에 밝아 한국을 범행 대상으로 삼은 뒤 각각 유통책을 뒀다.


아울러 경찰은 국내 유통책들에게서 62만명이 투약할 수 있는 시가 623억원 상당의 필로폰 18.7㎏을 압수했다.


경찰 관계자는 "오로지 국내 유통을 목적으로 해외 여러 조직이 연계한 것은 과거에는 보기 드문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경찰은 이와 함께 이들로부터 필로폰 등을 사서 투약한 투약사범 38명도 마약류관리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