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사고는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으나 대응 방법에 따라 그 결과는 많은 차이가 날 수 있다. 재난 사고 때는 초동 대응을 통한 골든타임 확보가 관건이다.
경상남도는 도 단위 최초로 재난 안전 컨트롤타워를 구축해 도민 안전에 적극 대처하고 있다.
경남도는 지난해 이태원 사고 이후 문제점으로 대두된 재난 정보의 취득과 재난대응기관 간 전파 체계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재난 정보를 발 빠르게 공유하기 위해 올 6월 재난안전상황실을 개소했다.
경상남도 재난안전상황실은 재난 업무 전문가인 방재안전공무원, 소방관 등 전문인력을 갖추고 도 단위 최초로 행정과 소방이 함께하는 근무 체제로 24시간 빈틈없는 상황 관리를 하고 있다.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과 시군 방범 CCTV(4만 1000여 대), 재해위험지역 CCTV(610대), 재난안전통신망, 소방 출동차량 현장 영상 등을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올 6월 말부터 쏟아진 기록적 폭우와 제6호 태풍 ‘카눈’이 경남도를 관통했음에도 인명 피해가 없었던 데는 재난안전상황실의 역할이 컸다.
또 재난안전상황실은 출범 후 8월 말까지 풍수해·산사태·산불·화학사고, 해양 선박 사고, 생활안전 등 총 753건의 재난에 대해 상황 관리와 초동 대응을 통해 도민 피해를 최소화했다.
재난 발생 시 상황 관리와 초동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도·시군·경찰과 함께 재난안전통신망과 국가재난정보관리시스템을 활용해 가상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정기적인 상황 대처 훈련도 적극 실시하고 있다. 특히 CCTV 중심인 재난 상황 관리 체계를 드론과 보디캠까지 활용하는 입체적 시스템으로 강화했다. 이처럼 재난 안전 컨트롤타워를 선도적으로 구축하자 우수 사례로 정부의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 대책에도 반영됐다.
올 연말까지 드론을 최대 50대까지 동시에 관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재난안전상황실에 완비한다는 것이 경상남도의 계획이다. 드론은 축제장 등 인파 밀집 지역, 급경사지·교량·굴뚝 등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 산사태·하천 등 근접해 조사하기 어려운 곳, 걸어서 순찰하기 어려울 만큼 넓은 행사장, CCTV를 설치하기 곤란한 지역 등을 관리하거나 조사할 때 활용된다. 재난안전상황실은 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은 물론 필요하면 원격제어까지 할 수 있다. 사고가 우려되는 인파 밀집 지역에서는 드론으로 경고 방송도 할 수 있다. 태풍·집중호우 등 기상 악화로 드론을 띄울 수 없을 때는 보디캠을 갖춘 인력을 현장에 투입해 모니터링 사각지대를 메우기로 했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지자체·경찰·소방이 재난 대응 원팀이 돼 초동 대응력을 높여 도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에 앞장서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는 “드론·인공지능(AI) 등 디지털플랫폼 기반의 재난 대응 시스템으로 고도화해 현장 대응 역량을 더욱 강화해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