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가 긴급구조 시 정밀위치가 제공되지 않던 자급제·유심 이동 단말기에 측위 앱을 탑재해 335만 이용자 단말의 사각지대를 해소했다고 27일 밝혔다.
자급제·유심 이동 단말기에 정밀위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사의 와이파이(Wi-Fi) 측위 앱을 단말에 탑재해야 한다. 그런데 이통사가 직접 출시하는 단말기의 경우 문제가 없었지만 소비자가 시장에서 직접 산 단말기(자급제)나 다른 이통사가 출시한 제품에 유심을 이동한 경우 측위 앱이 탑재되지 않거나 측위 앱 간 호환성 문제로 정밀위치가 제공되지 않았다. 이에 방통위는 2020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긴급구조기관, 이통사, 단말기 제조사, 연구기관 등이 참여한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협의체’를 구성해 문제 해결을 위한 논의를 이어왔다.
그 결과 신형 국산 단말기에 와이파이 측위 앱을 사전에 탑재해 출시하도록 하고, 구형 국산 단말기는 운영체제를 업데이트해 사후 탑재하도록 했다. 2022년 2월 이후 출시된 23종의 신형 국산 단말기는 이통3사 와이파이 측위 앱을 모두 사전에 탑재해 출시했다. 2020년 1월부터 2022년 1월 사이에 출시된 28종의 구형 국산 단말기의 경우 이통 3사 간 와이파이 측위 앱 호환성 검사 후 단말기 제조사가 운영체제를 업데이트할 때 측위 앱을 탑재했다. 이를 통해 335만여 개 단말기의 긴급구조 정밀위치 사각지대가 해소돼 긴급구조 상황에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는 게 방통위 측의 설명이다.
방통위는 향후 아이폰 등 외국산 단말기가 긴급통화 중에만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문제도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이동관 방통위원장은 “위치정보가 긴급구조기관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기술 개발, 예산 확보, 제도 개선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