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주식·채권·원화 트리플 약세… ‘연준發 금융 불안’ 선제 관리하라

미국발 고금리 충격이 4일 국내 금융시장을 강타하면서 주식·채권·원화 가치가 동반 하락세를 나타냈다.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는 각각 2.41%, 4.0% 급락했다. 국고채 10년물은 4.351%로 장을 마치며 연저점 대비 1%포인트 이상 급등했다. 원·달러 환율도 14.2원 급등한 1363.5원으로 마감하며 연고점을 경신했다. 고유가 지속, 미국 고용 시장 호조에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주요 인사들의 매파적 발언으로 연준의 고금리 정책이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된 탓이다. 글로벌 금융시장도 ‘긴축 발작(taper tantrum)’ 증세를 보이고 있다.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16년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고 일본·유럽 등도 주가와 환율이 약세를 보이고 있다.


연준이 긴축 정책을 지속하면 달러 강세를 부추기고 환차손을 우려한 외국인 자금이 국내 시장에서 이탈하게 된다. 가장 큰 문제는 위험 수위에 이른 가계 부채다. 한은에 따르면 자영업자의 전체 금융기관 연체액은 올해 2분기 말 현재 7조 3000억 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 중이다. 경기 부진과 고금리가 겹치면 자영업자들이 원리금을 감당하지 못하고 연쇄 파산 위험에 처하게 된다. 경기 침체 속 물가만 상승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위험도 점점 커지고 있다. 1970년부터 지금까지 발생한 인플레이션 111건을 분석한 결과 이번에도 단기간에 물가가 잡히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국제통화기금(IMF)의 경고다.


산업 생산과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는 등 우리 경제에 희망적인 소식도 일부 나온다. 하지만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더 큰 상황이다. 1997년 외환 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등 과거 한국 경제의 위기는 연준의 긴축 정책에 타격을 입은 금융 부문이 실물 경제까지 위축시키는 경로를 통해 발생했다. 금융·통화 당국은 자본시장의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일부 취약 고리가 금융권 전체의 시스템 리스크로 번지지 않도록 선제 관리해야 할 것이다. 정부는 고금리 장기화를 염두에 두고 기업 구조 조정, 규제 혁파 등을 통해 경제의 기초 체력을 다지는 데 속도를 내야 한다. 또 민관이 ‘원팀’이 돼 최후의 방어선인 수출 확대를 위해 초격차 기술 확보, 시장 다변화 등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