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도시로 지난 70년의 희생에 정부는 보상을 약속했지만 제대로 이행된 것이 없습니다. 지난 수십년 간 희망과 절망을 반복해 온 동두천 시민들은 침묵으로 일관하는 경기도와 정부의 행태에 더 이상 견딜 수 없습니다. 경기도청을 시작으로 정부에 성난 민심을 알려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각종 현안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구성된 동두천시 지역발전 범시민대책위원회의 심우현 공동위원장은 정부와 경기도의 대응에 강한 목소리로 성토했다.
경기동북부 공공의료원 유치를 위해 제생병원 활용 방안을 경기도에 제안하고, 미군 주둔을 근거로 지원특별법을 제정한 평택시에 상응하는 지원을 국방부에 요청했지만 이들 모두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기 때문이다.
심 위원장은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공약했던 경기동북부 공공의료원 설치를 당장에 추진할 수 있는 동두천의 제안에도 경기도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동두천 시민을 기만하고, 차별하는 정부와 경기도에 강력히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우선 24일 오전 11시 수원 광교 경기도청 신청사 앞에서 시민 총궐기 대회를 연다. 동두천 시민이 대규모 단체 행동에 나선 것은 지난 2014년 일방적인 미군 잔류 결정에 항의하며 대정부 궐기대회를 개최한 이후 처음이다.
동두천시는 제생병원을 활용해 경기동북부 공공의료원 설치를 촉구하고 있다. 동두천시는 앞서 이미 지어진 제생병원을 무상 제공한다는 파격적인 제안을 내걸었다. 지상 21층에 1405개 병상 규모의 제생병원을 동북부권 공공의료원으로 활용하면 수천억 원의 예산을 절감하고 내부 인테리어 공사만 마치면 당장 운영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경기도는 최근 예정됐던 경기 동북부 공공의료원 부지 선정 공모를 연기했다. 의료원 규모와 예산 등을 두고 정부와 의견 조율이 되지 않는 점이 가장 큰 원인이다. 경기도는 400병상 규모로 공공의료원을 조성하려면 2000억 원 정도 예산이 들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심 위원장은 "동두천시가 11만 명의 시민 서명을 받고, 제생병원 무상 이용기간을 늘리는 등 각종 제안을 해도 감감무소식"이라며 "행동으로 실천하는 동두천 시민의 목소리를 보이겠다"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경기도에 이어 국방부 등 정부 기관 앞에서도 총 궐기대회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러는 사이 미군 주둔 인원은 2만 명에서 2016년 이후 4500명으로 감소했고, 직격탄을 맞은 기지 주변 식당 등 자영업의 40%가 문을 닫으면서 동두천시 인구 17%가 생업을 포기한 것으로 시는 추정하고 있다.
각 종 지표에서도 시의 몰락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시 고용률은 55.9%로 3년 연속 전국 최하위를 기록했고, 재정자립도는 13.9%로 5년 연속 경기도 최하위를 면치 못하고 있다. 경기연구원은 미군 주둔으로 연간 3243억 원의 피해를 보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반면 정부의 지원책에서도 용산이나 평택에 비해 턱 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지난 2007년 7월 제정된 용산 특별법은 토지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공원 조성비 100%를 국비로 보조했고, 평택의 경우 18조 8000억 원의 정부 지원을 받아 지방산업단지를 조성했다. 하지만 동두천시는 2300억 원의 토지 매입 비용 일부를 지원 받아 지방비 부담이 큰 실정이다.
이에 따라 시는 미군 주둔을 근거로 지원특별법을 제정해 지원 받은 용산이나 평택시에 상응하는 지원을 국방부에 요청했지만 이 마저도 묵살당했다.
심 위원장은 “지난 70년간 시 전체면적에 42%를 차지하는 미군 공여지로 인해 지방세 주요 수입원인 재산세는 한 푼도 받지 못하고 있는데 무슨 재원으로 도시개발이 가능하겠느냐”며 “국가의 안보 때문에 희생을 강요당한 동두천시는 미군 주둔 지역이라는 오명으로 낙후되고 굉장히 부정적인 도시로 인식돼 도시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만 가득하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에게도 서면 편지를 보내고 박형덕 동두천시장이 국방부 장관을 만나 건의를 해도 정부의 어떤 누구도 이렇다 할 답변도 없이 동두천시를 무시하고 있다”며 “시민의 성난 민심을 알려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