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지오센트릭, 당진에 '열분해' 공장 추가 설립

英 플라스틱에너지와 MOU

SK 관계자가 울산 남구 SK지오센트릭 부지에서 2025년 준공할 세계 첫 플라스틱 재활용 종합단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박민주 기자

SK지오센트릭이 버려진 쓰레기에서 원유를 다시 뽑아내 ‘도시 유전’이라고 불리는 열분해유 공장을 추가로 짓는다. 2025년 가동 예정인 플라스틱 재활용 복합단지 울산ARC에 이은 국내 두 번째 열분해 공장이다.


SK지오센트릭은 31일(현지 시간) 영국 기업 플라스틱에너지와 충남 당진시에 폐플라스틱 열분해 공장을 짓는 투자협약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플라스틱에너지는 스페인 세비야 등에서 수년간 열분해 공장을 안정적으로 가동해온 경험이 있다.


양 사는 이번 MOU에 따라 합작사를 설립해 충남 당진시 송산2외국인투자지역에 열분해 2공장 건립을 추진하기로 했다. 2공장의 연간 폐플라스틱 처리 용량은 6만 6000톤으로 착공 및 공장 가동 시기는 향후 협의해 결정할 계획이다.


2공장은 수도권·충청권과 가까운 지리적 이점을 발판으로 두 지역에서 원활하게 폐기물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SK지오센트릭은 2공장의 열분해유를 울산ARC 열분해유 후처리 공장에서 높은 품질로 개선해 석유화학 공정에 투입하는 등의 연계도 진행할 계획이다.


열분해유는 폐플라스틱과 버려진 비닐 등을 고온으로 가열해 만든 원유다. 석유화학 공정에 원유 대신 투입하면 새 석유화학제품을 만들 수 있어 폐플라스틱 순환경제의 한 축으로 꼽힌다.


나경수 SK지오센트릭 사장은 “국내에서 폐플라스틱 열분해 공장 두 곳을 본격 운영하게 되면 순환경제 구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SK지오센트릭이 생산한 만큼의 플라스틱을 모두 재활용하겠다는 2027년까지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